LG화학이 동부팜한농 인수를 눈앞에 뒀다. LG화학이 인수를 마무리 지으면 농자재사업이라는 새로운 ‘날개’를 달게 된다. LG화학은 기초소재(석유화학), 정보전자소재, 전지사업을 하면서 쌓아온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동부팜한농의 영토를 해외로 확장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포트폴리오 다변화

LG화학은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의 수요 둔화, 중국발(發) 공급 과잉 등의 영향으로 본업인 석유화학사업(기초소재 부문)에서 성장에 한계를 느껴왔다. LG화학의 영업이익률은 사상 최대 호황을 누렸던 2011년 12.50%를 찍은 뒤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후 2012년부터 작년까지 8.21%(2012년)→7.53%(2013년)→5.80%(2014년)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올 들어서는 에틸렌 스프레드(제품가격과 원재료인 나프타 가격의 차이)가 확대되면서 실적이 개선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중국 내수경기 둔화 추세가 이어지는 등 경영여건이 근본적으로 개선된 것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LG화학은 이에 따라 편광판 등 정보전자소재, 자동차용 전지 등 전지사업 등을 강화해 기초소재 부문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연간 5만대 이상의 고성능 순수 전기차(시속 320㎞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전기차)에 탑재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을 중국 난징시에 지난달 말 준공한 것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LG화학은 동부팜한농 인수를 통해 농자재사업을 또 하나의 주요 사업으로 추가하게 됐다. 때마침 동부팜한농의 실적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올 상반기 동부팜한농의 영업이익은 720억원으로, 작년 한 해 영업이익(142억원)의 다섯 배를 넘어섰다.

○왜 농자재사업인가

글로벌 메이저 화학업체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농자재사업을 미래성장 동력으로 점찍고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왔다. 화학업계의 이런 움직임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은 듀폰이다. 1980년대 중반부터 바이오 소재 부문에 대한 연구를 펼쳐온 듀폰은 1990년대 후반부터 이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해 지금은 종자 등 농업제품과 식품부문 매출이 전체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독일 바이엘은 최근 소재과학 사업의 분리상장을 발표하면서 농업과학(작물보호제 및 종자)과 제약 중심의 전문 생명과학기업이 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LG화학이 동부팜한농 인수전에 뛰어든 것도 글로벌 화학업계의 이 같은 흐름에 더 늦지 않게 동참하기 위해서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동부팜한농은 작물보호제(농약)와 비료사업부문에서 각각 국내 1, 2위(작년 말 업계 추정 점유율 기준)에 올라 있는 국내 농자재 시장의 강자다. 하지만 동부그룹이 경영난에 빠지면서 글로벌 시장 공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LG화학은 기초소재, 정보전자소재, 전지사업을 하면서 쌓아온 영업망을 활용해 동부팜한농의 글로벌 영토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동부팜한농의 농약 원제(원료)사업은 LG화학 계열사인 LG생명과학이 이미 원제사업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개발(R&D) 인프라 공유 등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농자재 분야는 오랜 기간 R&D와 투자가 축적돼야 성과를 볼 수 있다”며 “세계적 소재기업으로 성장하면서 긴 호흡으로 기다려주는 문화가 뿌리내린 LG화학과 잘 맞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동부그룹 움직임이 막판 변수

LG화학의 동부팜한농 인수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 LG화학은 본입찰에 4500억~5000억원의 금액을 써낸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7000억원 이상의 입찰가격을 기대했던 동부팜한농의 재무적 투자자(FI)와 2대주주인 동부그룹에도 만족스러운 금액이 아니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FI들이 빨리 팔고 싶어해 현재로선 LG화학의 인수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다만 동부 측이 강하게 반발할 땐 다른 원매자를 찾아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