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 판돌피 유럽특허청 대외협력담당 이사가 22일 열린 ‘2015 한-유럽연합(EU) 지식재산권 콘퍼런스’에서 유럽의 특허 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ECCK 제공
카를로 판돌피 유럽특허청 대외협력담당 이사가 22일 열린 ‘2015 한-유럽연합(EU) 지식재산권 콘퍼런스’에서 유럽의 특허 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ECCK 제공
한국 기업들이 유럽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복잡한 지식재산권 제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와 특허청이 22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개최한 ‘2015 한-유럽연합(EU) 지식재산권 콘퍼런스’에서는 유럽특허청(EPO),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 등의 관계자들이 나와 유럽의 상표권과 디자인 출원 제도, 특허 제도 등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행사에는 유럽 진출에 관심이 있는 기업 임직원 300여명이 참석했다.

토니 슈라이바이스 에보닉코리아 사장(ECCK 부회장)은 “한국과 EU는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지난해 1141억달러를 교역한 핵심 교역국”이라며 “한국 기업이 5억 인구의 유럽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선 특허 등 지식재산권에 대한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 지역에서 지식재산권이 복잡한 이유는 국가별로 지식재산권을 인정하는 기준과 절차가 다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지식재산권 인정을 위한 절차를 줄이기 위해 기업들이 EPO 인증 방법을 택할 것을 권고했다.

권오정 특허청 산업재산보호협력국 국장은 “유럽지역에서 지식재산권을 인정받기 위해선 개별국의 특허청을 이용하는 방법과 EPO를 통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며 “한국 기업들은 EU 회원국 전체를 포함한 41개국에서 지식재산권을 인정받는 EPO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기업이 지난해 EPO를 통해 출원한 특허건수는 1만6358건으로 10년 전보다 2배 넘게 늘었다. 이 중 삼성이 출원한 신규 특허 수는 2541건으로 전 세계 기업 가운데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들이 지식재산권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는 조언도 이어졌다. 카를로 판돌피 EPO 대외협력담당 이사는 “한국 중소기업의 특허 출원 요구는 대기업들보다 크게 적어 유럽에서 지식재산권을 완벽하게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기업들에 유럽 지역의 특허 정보를 알려고 무료 온라인 데이터베이스(http://worldwide.espacenet.com)를 운영하고 있다”며 “9000만건이 넘는 특허정보를 한글로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