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못 내는 기업이 늘고 있어 우려된다고 26일 밝혔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국내기업의 레버리지비율(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면 개선되고 있지만 이자보상비율은 하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국내기업의 재무건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상장기업과 비상장 외부감사대상 기업의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레버리지비율과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을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전체 국내기업의 레버리지비율은 1997년 363%에서 2005년 109%로 낮아졌고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36%로 다시 증가했다가 이후 다시 낮아져 지난해에는 115%를 기록했다.

그러나 자산규모 하위 25% 기업만의 레버리지비율을 별도로 살펴보면 레버리지비율이 2000년대 후반부터 급등하기 시작해 2013년 491%로까지 늘었다.

기업의 부채에 대한 이자지급능력을 보여주는 이자보상비율은 1998년 61%까지 하락했으나 2014년엔 기준 524%로까지 개선됐다. 그러나 '한계기업'으로 분유되는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대 초반 26%에서 지난해에는 37%로 높아졌다.

특히 자산규모 하위 25% 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2002년 343%로 양호했다가 2011년 113%, 2013년 27%로 급격히 떨어졌다. 지난해엔 금리 인하 등의 영향을 받아 42%로 소폭 개선됐다.

이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의 레버리지비율과 이자보상비율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이들 기업은 부채의 70%를 단기차입에 의존하고 있고 그 중 57%는 1년 내 만기가 도래할 예정"이라며 "시장금리 인상 시 유동성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모니터링과 구조조정으로 위험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