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합병 승인이 났어도 뒷맛은 영 개운치 않은 게 삼성의 솔직한 심정입니다.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이 전방위에 걸쳐 추가 공격을 예고했기 때문인데요.



외국계 투기 자본의 공세로부터 우리 기업들을 지켜낼 보호장치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임원식 기자입니다.



<기자>

주총 대결에서 삼성에 패한 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의미심장한 말을 남긴 엘리엇.



법적 소송을 포함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합병 무효`를 이끌어내겠다는 엘리엇의 강한 의지로 풀이됩니다.



특히 주총을 앞두고 엘리엇은 삼성물산 주식을 보유한 삼성SDI와 삼성화재 등 다른 삼성 계열사들에 `합병에 찬성하지 말아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삼성SDI와 삼성화재의 지분도 각각 1%씩 갖고 있는 엘리엇이 향후 이들 회사들이 합병을 지지한 데 대해 배임 행위라며 소송을 걸 여지를 만들어 놓은 셈입니다.



주총 승리에도 불구하고 삼성이 엘리엇의 다음 카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건 이런 이유에섭니다.



소위 `기업 사냥꾼`을 넘어 `소송 전문가`이기도 한 엘리엇이 어떤 카드를 빼들든 이를 막기 위한 상당한 비용 발생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터뷰] 신석훈 /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분석팀장

"소송 뿐만 아니라 경영권에 직접 개입할 가능성이 크거든요. 소액 주주의 권리를 행사한다는 미명 하에 자꾸 뭘 요구하고 관여하기 시작하면 (삼성으로선) 굉장히 부담스럽죠."



문제는 외국 투기자본의 공세가 우려되는 국내 기업이 단지 삼성 한 곳만이 아니라는 점.



이른바 우량기업 지수로 불리는 KRX100 종목들 가운데 외국인 지분이 5% 이상 되는 곳만 해도 34곳이나 됩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는 이미 절반이 넘는 지분을 외국인이 차지하고 있고 현대차 역시 절반을 바라보고 있는 상황.



국내 기업 상당수가 지배구조가 취약해 `제2, 제3의 엘리엇` 등장은 보다 빈번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재계는 `포이즌 필`이나 `차등 의결권` 등 경영권 방어 장치가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임원식입니다.


임원식기자 ryan@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동상이몽 스킨십父 논란, 일진 미화 `송포유` 서혜진PD 이번에도?
ㆍ이민우와 열애 고소현, 남다른 `비키니 자태+각선미`에 반했나? 男心저격
ㆍ`20대女` 2kg 빠질 때, `홍진영` 5kg 감량한 이유 `이것`이 달랐다.
ㆍ`복면가왕 퉁키` 새 가왕 등극…누리꾼 예측은 `이정`?
ㆍ최운정, 6년 만에 LPGA 투어 첫 승 신고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