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구조 변화 수혜주는
한국은 초고령 국가인 일본의 고령화 속도를 이미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차 베이비붐 세대(1968~1974년생)’가 빠르게 장년층에 진입하고 있고, 1인 가구 내 60대 이상 비중도 2020년엔 19.1%까지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미혼 남녀의 결혼 연령이 갈수록 늦어지고 있다. 출산율은 높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이혼·별거 가정까지 늘고 있어 다양한 형태의 1인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가족구조 변화 수혜주를 살펴보려면 나이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1인 가구의 소비 성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젊은 1인 가구 소비의 가장 큰 특징은 고급스러운 일상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백찬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젊은 1인 가구는 주거와 양육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며 “대신 이들은 여행과 레저, 문화 등 취미생활에 돈을 아끼지 않는 ‘작은 사치’를 즐긴다”고 말했다.
고령 1인 가구의 수혜주는 단연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관련주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1인당 생애 의료비는 40대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고 특히 65~84세 사이에 생애 의료비의 절반 가까이(남성 42.3%, 여성 42.5%)가 필요했다.
한국경제TV 와우넷 파트너인 송관종 대표는 “1인 가구는 3~4인 가구보다 소비 여력이 큰 까닭에 강력한 소비주체로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1인 가구를 성공적으로 공략하는 기업들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