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권노갑 상임고문은 "당내 지분을 요구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정대철 상임고문은 "(문재인 대표가) 물러나는 것이 당과 스스로에게 이롭다"며 문 대표의 사퇴를 촉구했다.

권 고문과 정 고문을 비롯해 이용희, 김상현 등 새정치연합 비노(非盧) 성향의 원외 상임고문들은 1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조찬모임을 가졌다. 이들은 모임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히며 당 지도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권 고문은 당내 지분 나눠먹기 요구에 타협할 수 없다는 내용의 문 대표의 비공개 입장과 관련,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절대 그런 지분 문제는 아니다. 그렇게 오해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황 인식이 다르다. 절대 우리는 지분 문제는 이야기한 일이 없다"면서 "오늘 중 문 대표에게 전화해 일단 내용을 확인하고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덧붙였다.

권 고문은 또 이들이 주장해 온 친노 패권주의 청산 요구를 '지도부 흔들기'로 보는 시각에 대해선 "당을 단합하고 결속시키기 위해 모임을 가졌다. 당의 분열을 위해서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정 고문은 직접적으로 문 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는 "정치는 결과에 책임을 지게 돼 있다. 책임정치를 위해 그만두는 것이 당과 자기 자신에게도 이롭다고 생각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당에 대한 국민적 지지를 증폭시키고, 총선과 대선에서 이기기 위해 물러나야 한다. 당무에 몰입해서 상처받는 것보다는 비켜서서 신비스럽게 만드는 게 개인적으로 이로울 것"이라며 "스스로 모범을 보여 뒤로 물러나고, 그게 자신의 대선 행보를 위해서도 상처를 덜 받고 좋은 일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다만 친노 패권주의란 표현에 대해선 "적당한 표현이 아니다. 문 대표도 그런 말이 안 나오도록 크게 노력했다"고 감쌌다.

그러면서도 "계파 나눠먹기는 저희와 관계없다"며 "옛날엔 주류가 정권을 잡으면 6대4나 7대3 정도로 비주류에게 당직도 주고 의견을 중시해 함께 더불어 나아갈 수 있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승자독식은 이롭지 않다. 그래야 당 분쟁이 없다"고도 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