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노갑·박지원 "책임져야"…거세지는 '문재인 사퇴론'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에 대한 당 안팎의 사퇴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4·29 재·보궐선거 참패로 불거진 문 대표 책임론은 신임 원내대표 경선과 맞물리면서 불씨가 잦아드는 듯했지만, 지난 7일 비(非)노무현계 이종걸 의원이 새 원내사령탑으로 선출되고 당내 계파를 둘러싼 내홍이 심화되면서 문 대표를 향한 반발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 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친노무현계 정청래 최고위원이 비노무현계 주승용 최고위원에게 내뱉은 ‘공갈’ 발언에 주 최고위원이 최고위원직 사퇴를 선언하면서 당내 계파 간 분란이 촉발됐다. 동교동(김대중)계 좌장인 권노갑 새정치연합 상임고문과 박지원 의원(사진) 등 당내 중진 의원들은 이날 문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권 상임고문은 박 의원을 만나 “문 대표가 패배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의원도 이날 한 방송에 출연해 “문 대표가 아무 일 없이 지나갈 수는 없다”며 “문 대표가 책임질 일은 책임지고 그 의사를 밝혀야만 새정치연합이 건강한 당으로 다시 일어설 수 있다”고 했다. 새정치연합 소속 한 의원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이렇게 (당내 화합이) 잘 안 되면 (문 대표의 사퇴가) 어쩔 수 없는 일 아니냐”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11일 열리는 새정치연합 최고위원회의가 당내 갈등 봉합과 문 대표 책임론 확산 여부를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문 대표가 정 최고위원의 공식 사과 발언과 주 최고위원의 복귀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주 최고위원은 현재 외부와 연락을 끊고 지역구인 전남 여수에 칩거 중이고, 정 최고위원은 문 대표의 사과 요구를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문 대표가 이번 사태와 당내 갈등을 빠르게 수습하고 이 원내대표와 ‘투톱’체제로 호흡을 잘 맞춰 5월 임시국회에서 성과를 보여주는 것이 관건”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문 대표에 대한) 사퇴 압박은 더 심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진명구 기자 pmg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