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한국노총과 연대투쟁 강화"…정부, 엄정 대처 방침

민주노총은 노동시장 구조 개악 저지와 공무원연금 개악 중단 등을 위해 24일 총파업을 벌인다고 13일 밝혔다.

민노총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8일까지 실시된 총파업 투표에는 투표자 65만8천719명 중 42만8천884명이 참석해 투표율 65.11%를 기록했다.

찬성은 36만1천743명으로 투표자 대비 찬성률은 84.35%를 나타냈다.

민노총은 총파업의 핵심 의제로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공무원연금 개악 중단 ▲최저임금 1만원으로 인상 ▲세월호 진상규명 가로막는 시행령 폐기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퇴진 등을 내세웠다.

민노총은 24일 서울역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총파업 집회를 한 후 25일 연금개악 저지 범국민대회, 27일 노동시장 구조개악 저지 투쟁, 28일 공무원연금 개악 저지 촛불집회, 29일 비정규직 철폐 및 대학구조조정 저지 투쟁 등을 벌이기로 했다.

5월 1일에는 서울광장에서 세계노동절대회를 개최한다.

한상균 민노총 위원장은 "노동시장 구조개악 뿐 아니라 정부의 공무원연금 개악, 공공부문 정상화 방안 등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한국노총과의 연대가 필요하다"며 "앞으로 서로 만나고 공동 집회 등을 개최해 연대 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정부 정책이나 법 개정 사항 등은 파업의 목적이 될 수 없는 만큼 민주노총의 4·24 총파업에 엄정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8개 지방노동청장들과 가진 노동시장 구조개선 대책 영상회의에서 "노동계와 대화와 논의를 계속해 나가야겠지만, 불법파업 등은 법과 원칙에 입각해 엄정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이번 파업은 세월호 1주기 추모 분위기를 정치적으로 활용해 대정부 투쟁 분위기를 고조시키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민주노총은 이번 파업을 시작으로 5∼6월 임단협 투쟁, 국회 입법 저지 투쟁 등 파상 투쟁을 예고하고 있어 정부의 원칙적이고 엄정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ssa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