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새누리당의 '오락가락' 리더십
“결과에 대해 조금 더 고려가 필요하다.”

16일 오전 새누리당의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직후 김무성 대표는 8개 당원협의회 위원장 해임 안건이 처리됐느냐는 기자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지난 15일 조직강화특위(조강특위)는 최고위원회의에 올릴 당협위원장 해임 안건의 재상정을 목표로 밤 12시까지 회의를 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당협위원장을 ‘물갈이’하는 것이 당내 계파 갈등을 촉발시킬 만큼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조강특위는 당원협의회를 부실관리한 책임을 물어 해임시킨 당협위원장 7명을 당사로 불러 해명기회를 줬다. 이들의 해임안건에 서청원·이인제 최고위원이 강하게 반발하자 또 한 번의 ‘요식절차’를 끼워 넣었다.

박우천 새누리당 경기 파주갑 당협위원장은 소명을 끝내고 당사를 나오면서 “짜고치는 고스톱 아닌가요? 잘하시라 그러고 나왔습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해임 후에 다시 불러 소명기회를 줌으로써 당내 개혁의 ‘명분’마저 잃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당협위원장은 국회의원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당원들의 기구인 당원협의회를 이끄는 자리다. 당세 확장의 책임자이자, 총선 때 공천심사에서 가산점을 받는 등 요직으로 통한다. 김 대표는 취임 후 당의 최우선 개혁과제로 부실 당협위원장을 대대적으로 물갈이하겠다고 공언했다. 지난해 10월 당무 감사를 통해 ‘칼’을 빼들었지만, 반년이 지나도록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당내 친박·비박 계파 갈등을 부추기고 당 지도부가 사분오열로 찢겨 리더십에 상처만 입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대표의 오락가락 리더십도 도마 위에 올랐다. 김 대표는 “조강특위에 개입하지 않는다”고 했다가 조강특위 반대파의 비판을 받자 작년 연말 “100% 여론조사로 당협위원장을 뽑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당내 반발을 무마하는 과정에서 ‘여론조사 60%, 면접 등 다면평가 40%’로 하는 등 심사 원칙도 바꿨다. 김 대표는 “이런 모습도 민주정당의 면모”라고 했으나 집권 여당이 야심차게 시도한 ‘당내 구조조정’은 이렇게 시간만 흘려보내고 있다.

박종필 정치부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