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대부분은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되는 데 1~2년 더 걸린다고 예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경영의 위협 요인으로는 소비 부진과 가계빚 문제가 꼽혔다.

"경기회복 1~2년 더 걸릴 것…환율 손익분기점은 1050원"
현대경제연구원은 6일 ‘2015년 투자환경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달 매출 상위 10개 업종 7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시점에 대해 응답 기업 31.6%가 2016년 상반기, 27.6%가 2016년 하반기를 꼽았다. 2017년 이후라는 답변은 18.4%였다. 올 상반기(2.6%)와 하반기(19.7%)라고 응답한 기업은 다섯 곳 중 네 곳에 그쳤다.

올해 경영을 위협하는 요인으로는 ‘소비 부진(22.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가계부채 증가(16.6%)와 원화 강세(16.0%)를 우려하는 기업도 많았다.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 손익분기점 환율에 대해서는 달러당 1050원(29.4%)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달러당 1000원 미만도 견딜 수 있다는 응답은 28%에 그쳤다.

저유가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묻자 70% 이상이 올해까지라고 답했다.

올해 신규 고용 계획을 묻자 응답 기업 60.8%가 ‘1~5%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6~10% 확대’하겠다는 응답(16.2%)을 합치면 77.0%가 올해 고용을 늘릴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정부 출범 이후 기업 규제가 개선됐는지에 대해선 ‘보통’이라는 평가가 72.4%로 가장 많았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수시장을 활성화하는 한편 환율 안정에 주력해 기업들의 투자 심리를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