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회담’ 기미가요, 제작진 재차 사과 “선택 신중하지 못했다”
‘비정상회담’ 기미가요 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제작진이 재차 사과글을 게재했다.

10월27일 방송된 JTBC ‘비정상회담’에서는 일본 대표 데레다 타쿠야가 스케줄 문제로 자리를 비웠고, 그를 대신해 배우 다케다 히로미츠가 자리를 채웠다.

이때 다케다 히로미츠의 등장음악으로 ‘기미가요’가 흘러나왔고 시청자들의 공분을 사게 된 것이다. 기미가요란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노래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가 사용으로 금지되었던 노래다. 지난 1999년 다시 일본 국가로 법제화됐다.

논란이 커지자 ‘비정상회담’ 제작진은 28일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부적절한 음원이 사용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음악 작업 중 세심히 확인하지 못한 제작진의 실수이며 향후 유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더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과거 ‘비정상회담’ 1회에서도 기미가요를 사용했던 정황이 포착되며 ‘비정상회담’에 대한 논란을 사그러들지 않았다.

‘비정상회담’ 측은 또 한 번 “‘비정상회담’은 각 나라의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는 프로그램의 콘셉트에 따라 해당 국가를 상징하는 음원을 종종 활용해 왔다. 하지만 10월27일 방송된 ‘비정상회담’ 17회에서 ‘일일 비정상’ 출연자의 등장 시에 사용한 배경 음원은 그 선택이 신중하지 못했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세계 각국 젊은이들을 한 자리에 모아 진솔한 이야기를 듣고 다양성을 알아가고자 했던 기획 의도에 따른 것이기는 했지만, 각 나라의 상징에 대한 국민 정서와 역사적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잘못을 인정한다. 제작진의 잘못에 대해 시청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또한 “‘비정상회담’의 진심과 제작 방향에 공감하는 시청자 여러분들 중에서도 10월27일 방송에 대해 실망하는 분이 계실 것으로 생각된다”며 “‘비정상회담’ 제작진은 우리와 함께 사는 세계 여러 나라 국민들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하고,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를 실천하기 위해서라도 향후 보다 신중하게 제작에 임해야 한다는 점을 마음 깊이 느끼고 있다. 진심을 담아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비정상회담’ 기미가요 논란에 네티즌들은 “‘비정상회담’ 기미가요 진짜 실망이네요. 어떻게 이런 일이” “‘비정상회담’ 기미가요란 군국주의 상징하는 노래로 우리에게는 상처인 노래 아닌가요?” “‘비정상회담’ 기미가요 정말 안타깝네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사진출처: JTBC ‘비정상회담’ 페이스북)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news@wstarnews.com

▶ 신해철, 사망 소식에 후배 가수 김창렬 “살려내라 XXX들아”
▶ [리뷰] ‘나의 독재자’ 우리의 독재자들을 위한 응원
▶ 우지원 이교영 부부 딸 “엄마 성격 진짜 나빠” 과거 발언 ‘눈길’
▶ [인터뷰] 이끌리듯 돌아온 송윤아, 배우의 시간은 다시 흐른다
▶ 한고은 마띠아, 욕조 안에서 둘만의 ‘19금 스파 데이트’…눈 둘데 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