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시노스5보다 성능 57% 향상…갤럭시노트4에 탑재
네이밍에 성능·안정성에 대한 자신감 반영


삼성전자가 새로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7 옥타'를 공개했다.

1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엑시노스7 옥타는 64비트를 지원하는 삼성전자의 첫 AP다.

64비트 AP는 데이터 처리단위가 64비트로 기존 32비트 AP의 2배여서 데이터 처리능력이 크게 향상되고, 4GB(기가바이트) 이상의 고용량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AP는 모바일기기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시스템반도체로 PC의 중앙처리장치(CPU)에 해당한다.

엑시노스7 옥타는 고성능 빅코어(ARM 코어텍스-A57) 4개와 저전력 리틀코어 4개(ARM 코어텍스-A53)로 이뤄진 옥타코어 구조며, 기존 엑시노스5 옥타에 비해서는 데이터 처리 성능이 57% 개선됐다.

8개 코어를 작업 환경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작동시켜 칩의 성능과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옥타코어 빅리틀 멀티프로세싱 기술이 적용됐다.

그래픽처리장치(GPU)로 ARM 말리-T760을 탑재해 그래픽 처리 성능을 74% 끌어올렸다.

초고해상도(UHD) 사진·비디오 촬영과 재생을 할 수 있고, 3D 게임, 안면·홍체 인식, 증강현실 등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또 듀얼 이미지시그널프로세서(ISP)를 탑재해 1천600만화소 후면카메라와 500만화소 전면카메라로 동시에 비디오 촬영을 할 수도 있다.

엑시노스7 옥타는 20나노미터(nm·1nm = 10억분의 1m) 공정을 적용해 전력 효율성도 크게 향상시켰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부터 세계 최초로 20나노 공정을 적용한 AP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7 옥타를 엑시노스 홈페이지를 통해 이날 처음 공개했다.

엑시노스7 옥타는 삼성전자가 지난달 출시한 갤럭시노트4에 탑재됐으며, 업계에는 그동안 '엑시노스5433'으로 알려졌었다.

엑시노스7 옥타는 64비트를 지원하지만 갤럭시노트4는 탑재된 구글의 최신 운영체제(OS) '안드로이드 4.4 킷캣'이 32비트 기반이어서 64비트 체제를 구현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올해나 내년 초 64비트를 지원하는 첫 구글 OS인 '안드로이드L'이 나오면 64비트 체제로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가 이 제품에 엑시노스7 옥타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여 공개한 데는 성능과 안정성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초 처음 8개 코어를 탑재한 엑시노스5 옥타를 출시했으나 불완전한 성능과 통신서비스 지원 문제로 자사의 주력 스마트폰(갤럭시S4)에도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면서 경쟁력에 타격을 입었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공개한 엑시노스7 옥타를 갤럭시노트4에 탑재하면서 약화됐던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시스템반도체) 사업부는 엑시노스7 옥타를 발판으로 삼아 엑시노스5 옥타 출시 이후 부진했던 실적을 만회하는 데 본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abullapi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