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도 김은국·레슬링 정학진 金, 역도 김광성·레슬링 윤원철 銀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3일 현재 종합 7위를 달리며 선전 중인 북한의 메달리스트 상당수가 '4·25체육단' 소속이어서 눈길을 끈다.

북한 대표팀의 우수 선수들이 대부분 속한 4·25체육단은 한국의 국군체육부대와 비슷하다.

지난달 21일 남자 역도 62㎏급에서 신기록을 달성하며 금메달을 목에 건 김은국과 같은 달 27일 남자 자유형 레슬링 57㎏급에서 우승한 정학진은 4·25체육단 소속이다.

특히 지난 1일 일본과의 여자축구 결승경기에서 첫 골을 뽑은 김윤미와 결정적인 세 번째 골을 터뜨린 허은별도 이 체육단 여자축구팀 선수들이다.

남자 역도 77㎏급에서 은메달을 딴 김광성, 남자 그레코로만형 레슬링 59㎏급 2위 윤원철, 여자 유도 48㎏급 3위 김설미, 여자 기계체조 이단평행봉에서 동메달을 딴 강영미 역시 4·25체육단 출신이다.

지난달 25일 도마 결선에서 한국의 양학선과 우승을 다투다 4위에 머무른 북한 '체조영웅' 리세광, 탁구 혼합복식 8강에서 한국의 이정우-양하은 조에 패배를 안겨준 '세계 챔피언' 김혁봉, 김정도 이 체육단 출신이다.

4·25체육단은 북한 인민군 소속 체육단으로 명칭은 군 창건 기념일에서 따왔다.

북한은 김일성 주석이 항일빨치산인 '조선인민혁명군'을 창설했다는 1932년 4월 25일을 군 창건일로 정하고 매년 이날을 국가적 명절로 기념하고 있다.

'중앙체육강습소 체육단'이란 이름으로 출발해 1971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한 이 체육단은 북한에서 우수한 선수들을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북한 매체가 올해 초 발표한 '2013년 최우수 체육선수' 10명에 4·25체육단 소속이 6명이나 포함됐다.

또 월드컵 경기에 출전하는 남자축구 대표팀 선수 중 상당수가 이 체육단 소속 축구선수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4·25체육단이 이처럼 북한의 수많은 체육단 속에서 유독 두드러진 성과를 내는 것은 군을 중시하는 북한 사회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북한은 군 소속 체육단인 이곳에 물자를 우선으로 공급하는 등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편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북한 인민보안부 소속인 '압록강체육단'과 내각 철도성 소속 '기관차체육단' 출신 선수들의 활약도 두드러졌다.

남자 역도 56㎏급에서 우승한 엄윤철과 여자축구 결승경기에서 두 번째 골을 넣은 대표팀 주장 라은심은 압록강체육단 소속이며 여자 역도 75㎏급 금메달리스트 김은주, 여자 기계체조 평균대 결승에서 우승한 김은향, 여자 역도 69㎏급 2위 려은희, 여자 역도 63㎏급 동메달리스트 조복향 등은 기관차체육단 출신이다.

(서울연합뉴스) 윤일건 기자 yooni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