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중기 목표(2013~2015년)로 삼는 물가상승률은 연 2.5~3.5%. 하지만 실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2년 6월부터 줄곧 그 하단을 밑돌았다. 적정 물가 수준을 놓고 논쟁이 가열되면서 한은의 고민도 깊다.

[고개드는 디플레 공포] 일본보다 심각한 低물가
올해 2분기 물가상승률(1.6%)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1%보다 크게 낮다. 지난해 4분기부터는 일본의 물가상승률에도 뒤처지기 시작했다. 물가가 낮다보니 경상성장률도 2011년(5.3%) 2012년(3.4%) 2013년(3.7%) 내내 6%를 밑돌았다.

이 때문에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를 현실에 맞게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아졌다. 저출산과 잠재성장률 하락 등 구조적인 저물가 요인을 지적하기도 한다. 한은 안에서도 2016년부터 적용될 새 물가 목표를 지금보다 낮출 필요성에 공감하는 분위기다. 한은 관계자는 “선진국 중앙은행의 물가 목표는 2%, 신흥국은 5~6%인데 한국은 그 중간쯤에서 낮아지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부담도 있다. 일반인의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기대인플레이션은 2%대 후반에서 거의 내려오지 않고 있다. 선진국의 기대인플레는 2%대 초반이다. 한은 관계자는 “1970~1980년대 경제성장기에 물가 급등을 겪은 서민들은 ‘인플레 트라우마’가 여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가안정 과제가 뒤로 물러나긴 이르다는 지적도 있다. 소규모 개방경제의 특성상 국내 물가는 환율 변동에 민감하다. 구제역이나 태풍, 가뭄 등 공급 요인 역시 언제든지 물가를 흔들 수 있는 변수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물가가 급등하면 실질소득이 줄어든다”며 “향후 경기 회복에 따라 물가 압박이 커질 가능성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