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지식재산 정책 수립과 집행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계가 새롭게 만들어진다.

현행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지'와 '기술무역통계'로는 특허권·저작권 등 모든 유형의 권리 및 거래형태를 포괄하고 있지 않아 지식재산권의 수출입 현황을 정확하게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허청은 1일 열린 '제11차 국가지식재산위원회'에서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계 개발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특허청, 한국은행, 문화체육관광부,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등은 올해 안에 실무 준비작업을 마치고 내년부터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계를 조사·발표하게 된다.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통계가 새롭게 만들어지면 모든 지식재산권 유형에 대해 사용료, 판매액, 구매액 등 다양한 거래형태를 포괄하는 무역수지 동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 산업별·교역국가별로 지재권 무역수지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부가 지재권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연합뉴스) 이은중 기자 j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