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으로 한·중 경제협력에 속도가 붙을 걸로 점쳐지는 가운데 정부가 유의해야 할 점은 없는지, 그리고 좀 더 개선이 필요한 분야는 무엇인지 김택균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개설되면 우리나라는 동북아 위안화 허브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입지를 다지게 됩니다.



하지만 꼭 장밋빛 미래만 있는건 아닙니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월 한·중 통화 스와프 자금을 활용한 무역결제 지원제도를 시작했지만 실적이 미미할 정도로 위안화 수요는 많지 않은게 현실입니다.



또 1996년 원·엔 직거래 시장을 설립했지만 불과 넉달 만에 문을 닫은 뼈아픈 전력도 있습니다.



정부는 과거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시장기반 구축에 공을 들이는 등 신중한 모습입니다.



<인터뷰> 정부 관계자

"무역 결제가 잘 돼야 하고 실제 수요가 뒷받침돼야 하잖아요. 비드·오퍼를 의무적으로 내면서 시장이 굴러갈 수 있도록 하는 은행이 마켓메이커인데 은행들이 실제로 마켓메이커를 할지 안할지 아직은 잘 모르겠고 그걸 다 타진해보고 천천히 가야 될 일이죠."



한·중 경제협력 가속화에 따라 차이나머니가 국내 자본시장에 급속히 유입될 경우를 대비한 준비도 철저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 국내 주식시장으로 차이나머니가 꾸준히 유입되면서 미국과 유럽계 일색이던 외국 자금이 점차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차이나머니 비중이 커질수록 한국 경제는 중국의 실물경제 뿐 아니라 금융시장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인터뷰>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앞으로 중국계 자금이 많이 들어온 상태에서 중국 경제 리스크가 현실화됐을 때 실물 경제 측면에서나 중국계 자금이탈에 따른 금융 측면에서의 충격이 동시에 나타날 우려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따라서 정부가 환율,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등 경제 펀더멘털 관리에 더욱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변모하고 있는 양국의 산업구조를 고려해 교역 패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도 나옵니다.



<인터뷰> 최필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

"한국은 중국에 대해 부품소재나 중간재에 대해 흑자를 보고 있고요. 중국은 한국에 대해 최종소비재에 대해 흑자를 보고 있습니다. 양국이 소득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중국도 한국에 중간재에 대한 수출을 늘리고 또 한국은 중국에 대한 소비재 수출을 늘리는 방향으로 서로 협력을 해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이밖에 국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의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국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는 것도 중장기 과제로 제시됐습니다.



한국경제TV 김택균입니다.


김택균기자 tg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운명처럼 널 사랑해` 장나라 "여긴 어디, 나는 누구" 그야말로 멘붕
ㆍ‘조선총잡이’ 최재성, 아들 구하려다 끝내 죽음 ‘이준기 오열’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해피투게더3’ 선동혁, 낙마 사고 후 단기기억상실증 겪어 “’정도전’부터 기억났다”
ㆍ시진핑 방한‥한중 정상회담 시작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