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는 이번 KB국민은행의 허위 예금증명서 발급과 관련해 “금융권에서는 있어서는 안될 비상식적인 사고”라며 “기본적인 윤리문제에 심각한 균열이 생긴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 시중은행 감사업무 관계자는 7일 “KB국민은행에 대한 정확한 조사결과가 나와 봐야겠지만 허위서류를 개인이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했느냐가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전산시스템으로 의향서나 확인서를 발급하는 경우라면 전산시스템 통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셈”이라며 “반면 본인이 임의적인 형식으로 워드를 통해 작성했다면 사실상 막을 수 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통상적으로 은행 시스템을 활용했다면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볼 수 있는 데 개인적으로 집이나, 여타 장소, 지점이라도 칸막이가 있는 밀폐된 공간 등에서 허위 서류를 작성했다면 사실 은행에서 예방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그렇다 하더라도 가장 기본적인 것은 윤리적인 문제”라며 “아무리 한 개인이 하겠다고 마음 먹으면 불가피한 측면이 있더라도 한 조직의 내부통제 체크(검사) & 밸런스(균형)가 무너진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사고가 정상적인 결제 라인을 밟아서 생긴 것이라면 일이 더 커졌을 것이고 KB국민은행도 회복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점 등 영업점에서 주변 동료나 부서장 등이 업무처리에 대한 관심과 견제, 사고 예방을 위한 체계가 부족했음을 드러내는 사례”라고 밝혔습니다.



이 고위 관계자는 “현장에서 관심을 기울이다 보면 본인이 보기에도 이상한 거래 하는 동료가 눈에 띌 것이고 부서장 고발, 동료간 내부고발 제도 등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허위서류 작성 적발과 관련해 KB금융지주 고위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어찌됐건 연이어 사고가 터지게 된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일단 1차적으로 은행쪽 감사실과 영업전략 담당팀에서 사태 수습에 나서고 있고 지주쪽에서는 특별한 대책이나 수습방안은 아직까지 준비된 것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KB국민은행 측은 “최근 지주에서 쇄신안을 내놓았고 은행도 `스토리가 있는 금융` 등 계획을 제시했는 데 `스토리가 있는 금융`의 근간이 되는 지점 등 영업 현장에서 이런 일이 생겨 곤혹스럽다”며 “수습을 위한 대책 마련을 논의중”이라고만 답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최근 도쿄지점 불법대출 사건과 국민주택채권 위조 사고, 카드사의 개인정보 유출 등에 이어 이번에 영업점 간부급 직원이 1조 규모의 허위 예금증명서를 발급하다 적발되는 등 잇따른 악재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현재 이와 관련해 은행 등 금융사들에 허위 입금증 발급 사실을 알리고 이와 관련한 사고에 유의하라는 공문을 보냈으며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체 조사실시를 지시한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KB국민은행 측이 파악한 바로는 이번 허위 서류 작성에 따른 추가적인 피해는 없지만 관련자들이 기업이나 여타 금융권에서 허위 서류를 활용해 대출 등을 받는 등 금융거래 가능성이 있는 만큼 추가적인 피해를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중학생A양` 이열음 양호실서 곽동연 유혹··"만져보고 싶어"
ㆍ`김기리 등근육` 현빈 등근육 저리가! 객석 환호··"이 정도였어?"
ㆍ먹기만 했는데 한 달 만에 4인치 감소, 기적의 다이어트 법!!
ㆍ`중학생A양` 이열음 알고보니 엑소 카이와 지난해.. `대박!`
ㆍ4월 국회도 `정책 병목현상`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