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정상 궤도 진입할지 고비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의 경선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선거까지 66일 남은 30일 현재 서울은 주자 간 '빅딜설',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논란 등이 제기되면서 경선 무산 위기까지 치달았고, 경기는 후보군 압축(컷오프)을 놓고 진통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진 차출론'으로 홍역을 앓았던 인천과 제주는 TV 토론과 합동 연설회 일정을 정하고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경선전의 막을 올린다.

◇ 서울·경기 이번 주 고비 = 서울은 김황식 전 국무총리가 정몽준 의원과 이혜훈 최고위원 간 '빅딜설'을 제기하며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칩거에 들어가는 강수를 두면서 경선전이 멈춰 섰다.

정 의원의 지역구(동작을)를 이 최고위원이 물려받고, 이 최고위원이 경선에서 친박(친박근혜)계 당협위원장의 표를 몰아주려 한다는 게 빅딜설의 요체다.

이에 대해 이 최고위원 측은 김 전 총리야말로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과의 통화 사실을 흘리며 '박심설'을 퍼뜨렸다고 주장하며, 빅딜설이라는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있다고 발끈하고 있다.

지난 주말 동안 홍문종 사무총장을 비롯한 공천관리위원과 일부 의원들이 김 전 총리를 찾아 설득에 나섬에따라 김 전 총리가 이번 주 경선 레이스에 복귀할지가 주목된다.

김 전 총리는 전날 서초동 자택으로 찾아 온 서울지역 초선의원들에게 "경선 과정은 상식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한다"며 경선 과정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면서도 "당을 곤혹스럽게 하는 일은 하지 않겠다.

도움이 되는 방향을 찾겠다"고 말해 경선 복귀 가능성을 내비쳤다.

복귀시 정 의원과의 '빅매치'가 예상되지만 만약 경선불참을 선언할 경우 빅매치가 무산되면서 경선 흥행에도 적신호가 켜지게 된다.

서울은 현재 4월30일 경선 투표 날짜만 확정했을 뿐 아직 TV토론회나 합동 연설회 일정은 미정 상태다.

경기도는 '양자구도'로 갈 것이냐, 아니면 현재대로 '4파전'을 유지할 것이냐를 놓고 고심이 커지고 있다.

후보를 압축해 경선에 활력을 불어 넣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오랫동안 출마를 준비한 다른 중진 의원들에도 기회를 주자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남경필 의원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수위를 달리고 나머지 원유철 정병국 의원, 김영선 전 의원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우열을 가리기가 어려워 컷오프의 기준을 세우기 힘든 상황이다.

중앙당은 주말 동안 정밀 여론조사를 다시 실시해 컷오프를 검토키로 함에 따라 이번 주 그동안 진통을 겪었던 경선전의 구도가 판가름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는 오는 17∼23일 권역별 합동 연설회를 개최하고 24일 '원샷' 투표와 여론조사를 실시한 후 25일 개표한다.

◇ 부산·대구·인천·제주 등 금주 열전 돌입 = 유정복 전 안전행정부 장관은 조만간 의원직을 사퇴하고 내달 3일께 개소식을 열어 불꽃 튀는 경선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에 맞선 안상수 전 시장도 재선을 하는 동안 닦아 놓은 조직력을 가동해 자신이 진정한 지역 일꾼임을 알릴 계획이다.

인천은 4개 권역 합동 연설회와 3개 권역 TV 토론회를 열어 내달 23일 후보자를 가린다.

제주는 내달 3∼8일 TV 토론회 등 선거 운동기간을 거쳐 9∼10일 100% 여론조사 경선을 통해 후보를 확정한다.

원희룡 전 의원, 김경택 전 정무부지사, 김방훈 전 제주시장이 3파전을 벌이고 있다.

컷오프 경쟁에서 가장 많은 후보가 각축전을 벌였던 대구는 서상기 조원진 의원, 권영진 전 의원, 이재만 전 구청장 4명으로 압축된 상태다.

14∼19일 TV 토론회와 20일 합동 연설회에 이은 현장 투표로 후보를 확정한다.

경선 룰 결정 과정에서 혼선을 빚었던 부산은 22일 기존 방식에 따라 후보를 확정키로 했지만 서병수 의원에 맞서 박민식 의원과 권철현 전 주일 대사의 후보 단일화가 거론되면서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기자 aayy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