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부의 투자 주문에 적극적으로 화답한 그룹은 삼성과 SK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그룹은 지난해 투자액을 각각 6% 11%씩 늘리며 재계 투자를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투자액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그룹으로 28조7천억원을 기록했습니다.

2위는 SK그룹으로 12조2천700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현대차가 그 뒤를 이었지만 전년 대비 5.3% 줄인 10조8천400억 원 투자에 그쳤습니다.

지난해 30대 그룹 상장사 171개사의 유·무형자산 투자는 총 95조8천억원으로 지난해 97조7천억원 대비 1.9% 줄었습니다.

이중 삼성, 현대차, SK 등 ‘빅3’의 투자 비중은 54%에 달한다.

삼성의 경우 지난해 3분기까지만 하더라도 투자액이 전년 대비 15% 감소한 19조 원에 그쳤지만 4분기 투자 규모를 크게 확대해 전년 수준을 넘어섰습니다.

SK는 SK이노베이션과 SK텔레콤이 투자액을 각각 1조2천억원, 5천400억 원 늘리며 투자를 이끌었습니다.

전년 대비 각각 71%와 15.2% 늘어난 수치입니다.

3~5위 그룹은 투자액이 전년 대비 5~21% 가량 일제히 줄었습니다.

현대차에 이어 LG와 포스코는 각각 20.6%, 21.4% 감소했습니다.

투자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에쓰오일. 1천900억 원에서 4천600억 원으로 144% 증가했습니다.

이어 현대백화점(41.2%), GS(32.7%), 현대(24.8%), KT(20.6%), SK(11.3%) 등도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투자액이 24조7천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포스코 7조4천400억 원, KT 5조5천300억 원, 현대자동차 4조1천억원 순이었습니다.


박영우기자 ywpark@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벨로체 `그런 여자`, 브로 `그런 남자` 정면 디스··"김태희 찾으면 우크라이나로"
ㆍ`아반떼HD 급발진 영상` 급발진 논란 재점화··원인 규명되나?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ㆍ`SKT 보상금 조회` 보상금액 `빈축`··85요금제가 2300원
ㆍ1인당 국민소득 2만6,205달러...지난해 성장률 3.0%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