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민주당 대표(가운데)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은 신경민 최고위원, 오른쪽은 전병헌 원내대표. 연합뉴스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운데)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은 신경민 최고위원, 오른쪽은 전병헌 원내대표. 연합뉴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7일 창당 로드맵에 합의했다. 민주당 일부 인사가 새정치연합과 제3지대에서 신당을 만든 뒤 기존 민주당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안철수 새정치연합 중앙운영위원장이 공동신당추진단장을 맡아 창당 작업을 총괄하기로 했다.

박광온 민주당·금태섭 새정치연합 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합의문을 공식 발표했다.

합의에 따르면 민주당의 일부 의원이 새정치연합 소속 인사들과 함께 발기인으로 참여해 제3지대에서 신당을 창당한다. 창당 전까지 민주당 의원은 당적을 유지한다.

신당이 만들어지면 이들 의원은 자연스럽게 민주당을 탈당하게 된다. 신당은 기존 민주당의 조직과 인력을 흡수해 통합을 완성한다. 통합신당은 물론 신당추진단과 창당준비위원회까지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의 2인 지도 체제로 운영된다. 창준위 산하에 설치되는 새정치비전위원회, 정강정책 분과, 당헌당규 분과, 총무조직 분과, 정무기획 분과 등도 양측 동수로 구성된다.

당초 민주당은 새정치연합과의 ‘당 대 당 통합’을, 새정치연합은 민주당 해산 후 ‘제3지대 신당 창당’을 주장해 왔으나 서로 한발씩 양보해 접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협상도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이 직접 나서서 이끌었다.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비공개 회동을 하고 쟁점을 조율한 뒤 최종 합의에 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김 대표와 안 위원장은 비공개 회담 전까지만 해도 막판 신경전을 벌였다.

김 대표는 최고위 회의에서 “지금은 통합의 대원칙을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들을 가려내서 조율하는 중”이라며 “오직 진심과 성의가 통합의 윤활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안 위원장은 국가전략포럼 강연에서 “쇄신하고 기득권을 내려놓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 이(야권 통합) 시도는 어려워질 것”이라며 민주당을 압박했다.

양측이 이날 창당 방식에는 합의했으나 정강·정책이나 당명, 공천 배분 등 구체적인 사안별로 이견이 적지 않아 향후 협상 과정에서 갈등이 예상된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