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CNN방송이 27일(현지시간) `한국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 잘(많이)하는 10가지`로



인터넷 환경과 신용카드 사용, 일 중독 문화 등을 꼽아 관심을 모았다.



CNN이 첫째로 든 것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활발한 수준인 인터넷·스마트폰 문화(wired culture).



"미래가 어떤 모습인지 보고 싶으면 한국행 비행기표를 끊어라"가 시청자들에게 CNN이 던진 메시지다.



이 방송은 한국의 높은 인터넷 보급률(82.7%)과 스마트폰 이용률(78.5%)을 전하면서



"한국인들은 상점에서 돈을 내거나 지하철에서 실시간으로 텔레비전을 보는 데도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소개했다.



한국인들의 `신용카드 사랑`도 특이한 현상으로 꼽았다.



CNN은 "모든 택시가 신용카드 기계를 갖추고 있다"고 일상화된 카드 이용실태를 설명했다.



일 중독과 직장 내 음주문화도 한국은 유별나다고 지목했다.



CNN은 "한국인들은 너무나 열심히 공부한 나머지, 직장에 들어가서도 그 습관을 버리지 못한다"며



"한국 어느 도시에 가도 일 중독 근로자들 때문에 밤늦게까지 빌딩에 불이 환한 모습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하지 않을 때는 소주를 마시면서 거래 성사를 축하하거나 슬픔을 털어버린다"며



"여러 유수 기업들이 술 문화를 억제하려 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상사가 팀원들을



폭탄주 술자리에 `너무 자주` 끌고 간다"고 꼬집기도 했다.



이외에 여성 골퍼들의 선전과 항공기 승무원들의 뛰어난 서비스, 청춘남녀들의 소개팅 문화 등도



다른 나라를 압도하는 사회 현상으로 거론했다.



"다른 나라에서였다면 구제불능의 괴짜(nerd)였을 이들을 최고 소득자이자 유명인으로 만들었다"고



스타 크래프트 게이머를 소개한 CNN은 `성형수술의 메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본에서 의료관광을 위해 사람들이 몰려들고 있다고 전했다.


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불만제로UP 홍삼 실체 공개 "6년근 최고 품질 아니다" 폭로
ㆍ베르테르 효과 최진실 주변 인물로 3번째 사망 `애도 물결`
ㆍ열심히 운동해도 살이 안빠지는 이유.. 이것때문?
ㆍ김유미 정우 언급, "조심스럽다, 팬들에게 에티켓 지키고 싶어"
ㆍ올해 한국증시 수익률 전세계 최하위 수준...외부변수와 기업실적 부진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