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양책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이 약한 이유는 ‘소득 불균형’ 때문이다. 소비 성향이 높은 저소득층의 구매력이 약화됐다. 현재 기업에는 돈이 쌓여 있다. 정부는 투자를 통해 고용을 늘려 줄 것을 기업에 요구한다. 기업들은 수요가 없다는 이유로 거절해 왔다. 정부는 배당·자사주 매입 후 소각 등을 통해 소비자들의 구매력이라도 높여 달라고 요구한다. 계층 간 불균형을 없애기 위해서다. 이 경우 주가는 싼데 배당을 많이 주는 우선주에 관심이 간다.
‘지역 간 불균형’도 해소될 것이다. 지난 몇십년간 고용유발 효과가 큰 제조업이 중국에 쏠려 있었지만 이제 미국·유럽 등으로 넘어가기 시작했다. 생산성을 감안한 중국 인건비 수준이 현재 미국의 44%로 높아졌다. 운송 비용까지 감안하면 ‘제조업의 이동’은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미국·유럽은 고용 회복에 자신을 갖게 될 것이다.
그래도 중국은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다. 위안화 강세도 소비자 구매력을 키워줄 것이다. 환경오염 주범인 중국 철강 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진행될 전망이다. 국내 철강주들이 상승세를 보일 것이다.
김학주 < 한가람투자자문 부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