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균형 성장' 강조…"출구전략 시점 늦춰야"
선진국, 금융시스템 투명성 제고…금융규제 강화 모색

5∼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경제 문제가 시리아 사태라는 메가톤급 정치 이슈에 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G20 국가들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90%가량을 차지하고 국제 교역량의 80%를 넘는다는 점에서 경제 문제에 대한 논의가 보편적으로 모든 국가가 가장 관심을 기울이는 분야라는 것이 중론이다.

확대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높은 실업률이라는 녹록하지 않은 상황에서 좀처럼 회복 속도를 내지 못하는 세계 경제에 성장의 박차를 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글로벌 성장동력으로서 인프라 투자를 신규 과제로 채택하고, 관련 공공정책과 민관협력(PPP) 활성화, 국제개발은행(MDB) 재원확충 등 재원조달 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번 정상회의가 최초로 브릭스(BRICs) 국가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신흥국들의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의장국인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최근 정상회의와 관련 "핵심 목표는 강력하고 지속 가능하며 균형 있는 성장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특별히 `균형'을 강조했다.

이는 선진국들이 주도하는 세계 경제 현안에 관한 논의와 대응이 신흥국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 좀 더 균형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맥락에서 국제통화기금(IMF)의 쿼터(지분배분) 공식을 재검토하는 문제와 관련, 신흥국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지배구조 개혁 논의가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상회의를 앞두고 불거진 가장 뚜렷한 세계 경제 현안은 아시아를 중심으로 증폭된 신흥국들의 외환 위기 재현 우려다.

특히 이를 촉발한 배경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양적완화 축소 움직임이라는 점에서 세계 중앙은행들의 출구전략 시점을 늦춰야 한다는 요구가 인도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유동성 위기에 취약한 신흥국들의 글로벌 안전망을 갖추기 위한 논의가 브릭스 국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유럽연합(EU) 등 선진국들이 신흥국들에 대한 글로벌 금융 안전망 확보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일지는 미지수다.

신흥국들에서 드러난 유동성 위기의 취약성은 해당 국가가 각자 보완해야 할 내부 문제라는 것이 이들 국가의 지배적인 시각이기 때문이다.

선진국들은 이보다는 전체적으로 글로벌 금융 위기를 가져올 수 있는 금융 시스템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이와 관련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글로벌 금융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은행만 규제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면서 헤지펀드 등 '그림자 금융'에 관한 규제 강화를 이번 G20 회의에서 압박하겠다는 뜻을 내보였다.

또 조세회피처를 통한 탈세를 차단하기 위해 제품이 생산된 지역에서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계획이 이번 정상회의에서 승인될 것으로 예상된다.

(베를린연합뉴스) 박창욱 특파원 pc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