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는 박근혜 정부의 핵심 정책인 창조경제와 관련, 민·관이 공동 참여하는 ‘창조경제 추진기획단’(가칭)을 설립하자고 10일 정부에 건의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이날 서울 삼성동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3차 창조경제특별위원회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허 회장은 “그동안 정부와 민간이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으나 아직까지 창조경제가 국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창조경제 프로젝트를 발굴해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최근 창조경제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국민의 60%가 창조경제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54.5%는 창조경제 개념이 모호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부와 기업, 학계의 뜻을 모아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논의할 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경련은 구체적으로 국무총리와 민간 전문가가 공동 위원장을 맡는 창조경제특별위원회 산하에 창조경제 추진기획단을 두고, 창조산업팀 국민소통팀 제도기반팀 이행점검팀 등 4개팀을 둘 것을 제안했다. 각 팀은 창조경제에 필요한 미래 먹거리 산업을 발굴하고, 각종 규제 개선 및 국민제안 사업 발굴 등의 역할을 맡는다.

한편 이날 창조경제특위에서는 △빅데이터 활용 △한식 세계화 △온라인 지식생태계 등 세 가지를 창조형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대훈 LG CNS 사장은 “전 세계 빅데이터 시장은 연평균 40%씩 성장해 2015년이면 170억달러로 커질 것”이라며 “잘 활용한다면 내년에 국내 일자리 6만개를 만들 수 있는 사업 분야”라고 강조했다. 이승훈 CJ경영연구소장은 “전 세계 한식당은 1만여개로 일본 식당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며 “우수한 식당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중·장기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