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40여곳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인 C·D등급을 받는 기업이 작년보다 늘어난 40개 안팎에 이를 전망이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사진)은 9일 경북 구미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이 지난해보다 늘어날 것 같다”며 “다만 작년과 달리 D등급보다는 C등급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금감원과 채권은행들은 금융권에서 500억원 이상 빌린 1806개 대기업 중 549개를 세부 평가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 가운데 건설사 조선사 반도체업체 디스플레이업체 등 36개를 C등급(15개)과 D등급(21개)으로 분류했다.

금감원과 채권은행들은 올해도 지난 4월부터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를 벌여왔다. 결과는 이르면 이번 주 중 발표한다.

올해는 특히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까지 취약 업종으로 선정해 평가 대상 기업을 작년보다 35개 많은 584개로 늘렸다. 이에 따라 구조조정 대상 기업도 40개 안팎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용위험 평가에서 C등급을 받으면 해당 기업은 채권단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약정을 맺고 경영 정상화를 추진해야 한다. 채권단 지원을 받지 못하는 D등급은 대부분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된다.

최 원장은 “워크아웃은 기업의 회생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며 “워크아웃 기업에 대해 금융회사들이 대출을 회수하는 등 불이익을 주지 않도록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