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불안에 세계경제 '시계제로'…글로벌 증시 또 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계 경제 1, 2위 대국인 'G2(미국·중국)'발 불안으로 세계 경제가 다시 위기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주 미국의 중앙은행(Fed)이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간표를 제시한 이후 세계 금융시장은 요동쳤고 24일(현지시간)에는 중국의 신용경색 우려까지 겹치면서 시장의 불안은 증폭됐다.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다우,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나스닥 등 3대 지수가 모두 1% 안팎의 하락세를 보였다. 다우는 장중 한때 250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상승세로 출발했던 유럽증시도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1.42% 내렸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1.24% 하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도 1.71% 떨어졌으며 범유럽 Stoxx 50 지수는 1.48% 빠졌다.
아시아 증시도 하락했고 중국 증시는 5% 이상 폭락했다. 한국의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31% 하락해 종가 기준으로 작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5.29% 내려간 1963.23에 거래를 마쳤다. 이 지수가 2000에서 후퇴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이다.
일본의 닛케이평균주가는 1.26% 내렸고 홍콩 항셍지수는 9개월 만의 최저치로 장을 마쳤다. 금과 은, 구리 등의 원자재 가격도 하락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여파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가운데 중국의 신용경색 위기 우려가 시장의 불안을 가중했다.
중국 금융시장에서는 최근 단기금리가 급등하면서 중소형 은행의 자금난이 심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신중한 통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필요하면 미세 조정에 나서겠다"면서 시장이 만족할만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미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축소 여파도 계속되고 있다. 양적완화 축소 시간표를 밝힌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판단이 올바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폴 에델스타인 IHG글로벌인사이트 이사는 "미국 경제가 아직 여러 측면에서 취약한 상태"라면서 "Fed의 실업률 하락 기대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최근 사태가 정상화로 가는 과정이라는 분석과 장기적으로 세계 경제에 위협될 수 있다는 전망이 함께 나오고 있다.
그러나 양적완화나 신용경색이 경제 성장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주가가 급락하고 금리가 오르면 민간 소비나 기업의 투자가 부진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지난주 미국의 중앙은행(Fed)이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간표를 제시한 이후 세계 금융시장은 요동쳤고 24일(현지시간)에는 중국의 신용경색 우려까지 겹치면서 시장의 불안은 증폭됐다.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다우,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나스닥 등 3대 지수가 모두 1% 안팎의 하락세를 보였다. 다우는 장중 한때 250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상승세로 출발했던 유럽증시도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1.42% 내렸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1.24% 하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도 1.71% 떨어졌으며 범유럽 Stoxx 50 지수는 1.48% 빠졌다.
아시아 증시도 하락했고 중국 증시는 5% 이상 폭락했다. 한국의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31% 하락해 종가 기준으로 작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5.29% 내려간 1963.23에 거래를 마쳤다. 이 지수가 2000에서 후퇴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이다.
일본의 닛케이평균주가는 1.26% 내렸고 홍콩 항셍지수는 9개월 만의 최저치로 장을 마쳤다. 금과 은, 구리 등의 원자재 가격도 하락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여파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가운데 중국의 신용경색 위기 우려가 시장의 불안을 가중했다.
중국 금융시장에서는 최근 단기금리가 급등하면서 중소형 은행의 자금난이 심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신중한 통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필요하면 미세 조정에 나서겠다"면서 시장이 만족할만한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미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축소 여파도 계속되고 있다. 양적완화 축소 시간표를 밝힌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판단이 올바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폴 에델스타인 IHG글로벌인사이트 이사는 "미국 경제가 아직 여러 측면에서 취약한 상태"라면서 "Fed의 실업률 하락 기대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최근 사태가 정상화로 가는 과정이라는 분석과 장기적으로 세계 경제에 위협될 수 있다는 전망이 함께 나오고 있다.
그러나 양적완화나 신용경색이 경제 성장에 근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주가가 급락하고 금리가 오르면 민간 소비나 기업의 투자가 부진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