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비 전 호주 대법관 "인권엔 예외 없어…내년1월 보고서 초안"
"예단은 않을 것…증거와 정보에 근거해 결론내릴 것"


마이클 커비 초대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위원장은 12일 "인권에 예외란 없다.

북한 인권 문제를 공정히 조사하겠다"면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조사 의지를 밝혔다.

유엔 인권위원회의 결의로 유엔 차원에서 처음 설립된 COI를 이끌게 된 커비 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인권 보호는 인류의 임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커비 위원장은 호주 대법관 출신으로 캄보디아 인권문제 담당 유엔 사무총장 특별대표 등을 지냈다.

그는 지난 7일 마르주키 다루스만 현 북한인권 특별보고관, 세르비아의 인권운동가 소냐 비세르코와 함께 북한인권조사위원으로 선임됐고, 동시에 위원장으로 지명됐다.

그는 인터뷰에서 유엔 헌장과 세계 인권 선언 등을 언급하면서 "인권은 모든 사람에게 있고 인종과 같은 무관한 이유로 예외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북한 인권 상황을 평가하는 데는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공정히 조사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피력했다.

그는 "지금 단계에서는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어떤 의견도 갖고 있지 않다"며 "그러기에는 너무 시기상조이거나 잘못하는 것일 수 있기에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 34년간 법관으로 일한 경험은 제게 예단을 피하도록 가르쳤다"면서 "언론 보도나 책, 다른 믿을 수 없는 소스가 아니라 적절히 제공되고 평가받은 증거와 정보에 근거해 견해를 가지고 결론을 내리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캄보디아에서의 경험을 통해 인권침해에 대한 고발에 민감해졌다"며 "캄보디아에서 공정히 (조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았고 북한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아직 북한을 방문한 적이 없다는 커비 위원장은 '기회가 주어질 경우 북한을 방문하거나 북중 접경지역에서 탈북자들을 만날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답하지 않았다.

위원회는 7월 1일부터 공식 임무를 시작한다.

커비 위원장은 "이미 제네바에 있는 위원회 사무국에서 많은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위원회는 북한 인권 사안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 내년 3월 유엔 인권이사회에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면서 "보고서를 다른 유엔 공용어로 번역하는 문제 때문에 실질적으로 내년 1월까지는 초안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보고서 제출에 앞서 오는 9월 구두로 중간보고를 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 air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