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 뷜러의 수습생 > 스위스의 식품 가공기계 업체인 뷜러에서 실업학교에 재학 중인 수습생들이 직접 공구를 들고 생산 현장에서 조립작업을 하고 있다.
< 스위스 뷜러의 수습생 > 스위스의 식품 가공기계 업체인 뷜러에서 실업학교에 재학 중인 수습생들이 직접 공구를 들고 생산 현장에서 조립작업을 하고 있다.
곡식과 식품 가공기계를 생산하는 뷜러(Buehler)의 조립 공정에서 한 여직원이 기계에 전압 장치를 넣으며 콧노래를 흥얼거린다. 옆 동에서는 용접 불꽃 사이로 휘파람 소리가 들려온다. 지난달 30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동쪽으로 100㎞ 떨어진 우츠빌이란 작은 마을에 자리잡은 뷜러 직원들이 일하는 모습은 즐거워 보였다. 지방에 본사를 둔 이 회사 직원들이 신바람나게 일할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전 세계에서 소비되는 보리의 75%, 쌀의 15%가 뷜러 기계로 가공된다. 뷜러 기계로 만들어지는 초콜릿 및 파스타의 비중도 각각 65%, 40%다. 뷜러에서 20년 넘게 근무하고 있는 마크 슈워츠 판매담당 부장은 “히든챔피언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며 “사람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하는 회사를 만들겠다는 것이 뷜러의 경영철학”이라고 강조했다.

1860년 우츠빌에서 직원 2명의 주물가게로 시작한 뷜러는 150년 동안 사세를 키우며 연매출 20억유로(약 2조9000억원)의 회사로 성장했다. 전 세계 140개국에 생산공장이나 지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성장을 위해 가장 중시하는 것은 ‘맨파워’다. 뷜러 직원 1만명 중 550명은 실업학교에 다니면서 일을 배우는 수습생이다. 이날도 뷜러의 공장 한쪽에서는 커다란 공구를 든 2명의 수습생이 구슬땀을 흘리며 실습하고 있었다. 이들은 처음 1년 동안에는 매월 30만원, 다음 3년은 매월 80만원 정도의 임금을 받는다. 한상곤 KOTRA 취리히무역관장은 “보통 수습생은 생산공정에 3~4년 투입돼 배우는 만큼 입사 후 재교육 과정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며 “히든챔피언이 많은 독일어권 국가의 청년실업률이 낮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뷜러의 금속판을 자르는 공정에서는 절단기계에 ‘Trumatic L4050’이라는 라벨이 붙은 레이저 기계가 돌아가고 있다. 독일을 대표하는 히든챔피언인 트룸프(Trumpf)가 만든 기계다. 독일 디칭엔에 본사를 둔 트룸프는 90년 전 설립된 납 절단기 제작 전문업체다. 현재는 산업용 레이저와 공작기계, 의료기기 등을 생산한다. 지난해 매출 23억유로(약 3조3000억원)를 올린 이 회사는 26개국에 자회사를 두고 있다.

< 레이저 로봇 점검하는 獨트룸프 직원 > 독일의 레이저가공기계 제조업체인 트룸프의 한 직원이 레이저 로봇의 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 레이저 로봇 점검하는 獨트룸프 직원 > 독일의 레이저가공기계 제조업체인 트룸프의 한 직원이 레이저 로봇의 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매년 10% 성장과 차입 최소화, 품질 1위를 경영 목표로 삼고 있는 트룸프도 인력을 가장 큰 자산으로 꼽는다. 전체 9555명 임직원 중 6~10%는 수습생이다. 수습생으로 입사해 경력을 쌓다 마이스터(장인) 자격증을 취득해 돌아오기도 한다. 김태용 컴윈스 부사장은 “고졸, 대졸 가릴것없이 대기업으로만 몰릴 뿐더러 직원을 뽑더라도 재교육 없이는 현장에 투입을 할 수 없는 것이 우리 중소기업의 현실”이라며 “직원을 채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술 인력을 유지하기는 더 어렵다”고 토로했다.

수습생을 거치며 공정을 구석구석 배우다 보니 입사 후 취업자들의 만족도가 대체로 높은 편이다. 평균 이직률이 2% 미만으로 낮은 이유다. 낮은 이직률은 탄탄한 기술력으로 이어져 회사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독일 민델하임에서 공작기계를 제조하는 그로프(Grob)의 알프레드 뢰를 생산담당 부장은 현장교육 전문가다. 그는 “매년 55명 정도씩 뽑아 왔다”며 “그간 가르친 1900명의 수습생 중 1000여명이 지금도 회사에서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기준 그로프의 직원은 4200명이다. 전체 직원의 25%가량이 수습생 출신인 셈이다. 이곳에서 수습과정을 거치면 상공회의소에도 등록돼 설계, 기계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력자로 인정받는다.

유럽 히든챔피언 기업에서는 고용 인력의 5~10%가량이 실업학교 학생들이다. 고등학교 졸업 후 70%가 대학에 진학하는 한국과 달리 독일어권 국가들의 대학 진학률은 30% 남짓이다. 나머지는 현장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전문 기술을 배운다.

김평희 KOTRA 글로벌연수원 원장은 “히든챔피언들과 같은 인력을 확보하려면 필요한 것이 시스템과 사람인데 이는 결국 교육”이라며 “교육제도 전반의 혁신, 기술인력에 대한 인식 전환 없이는 요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츠빌· 디칭엔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