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언론 검열 반발 일파만파…친정부 학자도 "이건 아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식인·부유층이 개혁 주도
“진실의 한마디가 세상보다 무겁다.”
러시아 문학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이 유명한 말이 지난 7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 올라왔다. 중국인들은 이를 보고 깜짝 놀랐다. 글을 쓴 사람이 바로 유명 여배우 야오천(姚晨)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올해 신년사 기사를 광저우 공산당 선전부가 임의로 고치자 언론 검열 철폐를 요구하며 집단 시위와 파업을 벌이고 있는 주간지 남방주말(南方周末)의 로고와 함께 이 글을 올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중국 민주화운동의 주도세력이 지식층과 부유층 그리고 고학력자들로 바뀌고 있다고 보도했다. 과거 반체제 인사들과 노동자들이 민주화 운동의 전면에 섰던 것과 딴판이라는 것이다.
7일 광저우 남방주말의 언론자유 투쟁을 지원하기 위해 모인 400여명의 사람들은 대부분 대학생인 젊은이들이었다. 이들은 남방주말 사옥 앞에서 파업 중인 기자들을 지지하는 시위를 벌였다. 한 참석자는 “공산당의 언론 검열이 너무 심해 새 지도부의 정치 개혁 의지가 의심된다”며 “우리는 다음 세대들이 더 자유로운 환경에서 살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FT는 “중국 국민들은 이제 소득 증가 외에도 더 많은 정치적 권리를 원하고 있다”며 “이런 열망은 지식층일수록 강하다”고 전했다. 시진핑(習近平) 공산당 총서기가 취임한 이후 중국의 지식인들은 세 차례나 민주적 개혁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발표했다. 과거에는 반체제 지식인들이 이를 주도했지만 이번 공개서한에 서명한 사람들은 공산당과도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학자층이 대부분이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분석했다.
지난달 25일 중국의 민주화 개혁을 촉구한 공개서한의 초안을 쓴 사람은 장첸판(張千帆) 베이징대 법학과 교수다. 그는 중국 헌법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또 이 공개서한에 중국 법학의 태두로 불리는 장핑(江平) 정법대 종신교수가 서명했다. 그는 전국인민대표대회 법률위원회 부주임을 역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시진핑 총서기가 적극적으로 개혁을 추진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면서도 “개혁에 대한 열망이 확산되고 있어 조만간 중국인들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
러시아 문학가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이 유명한 말이 지난 7일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 올라왔다. 중국인들은 이를 보고 깜짝 놀랐다. 글을 쓴 사람이 바로 유명 여배우 야오천(姚晨)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올해 신년사 기사를 광저우 공산당 선전부가 임의로 고치자 언론 검열 철폐를 요구하며 집단 시위와 파업을 벌이고 있는 주간지 남방주말(南方周末)의 로고와 함께 이 글을 올렸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8일 중국 민주화운동의 주도세력이 지식층과 부유층 그리고 고학력자들로 바뀌고 있다고 보도했다. 과거 반체제 인사들과 노동자들이 민주화 운동의 전면에 섰던 것과 딴판이라는 것이다.
7일 광저우 남방주말의 언론자유 투쟁을 지원하기 위해 모인 400여명의 사람들은 대부분 대학생인 젊은이들이었다. 이들은 남방주말 사옥 앞에서 파업 중인 기자들을 지지하는 시위를 벌였다. 한 참석자는 “공산당의 언론 검열이 너무 심해 새 지도부의 정치 개혁 의지가 의심된다”며 “우리는 다음 세대들이 더 자유로운 환경에서 살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FT는 “중국 국민들은 이제 소득 증가 외에도 더 많은 정치적 권리를 원하고 있다”며 “이런 열망은 지식층일수록 강하다”고 전했다. 시진핑(習近平) 공산당 총서기가 취임한 이후 중국의 지식인들은 세 차례나 민주적 개혁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발표했다. 과거에는 반체제 지식인들이 이를 주도했지만 이번 공개서한에 서명한 사람들은 공산당과도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학자층이 대부분이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분석했다.
지난달 25일 중국의 민주화 개혁을 촉구한 공개서한의 초안을 쓴 사람은 장첸판(張千帆) 베이징대 법학과 교수다. 그는 중국 헌법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또 이 공개서한에 중국 법학의 태두로 불리는 장핑(江平) 정법대 종신교수가 서명했다. 그는 전국인민대표대회 법률위원회 부주임을 역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시진핑 총서기가 적극적으로 개혁을 추진할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면서도 “개혁에 대한 열망이 확산되고 있어 조만간 중국인들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김태완 특파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