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형 대신 관리형 비대위원장 탄력

민주통합당이 대선 패배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 3월말 조기 전당대회를 치러 새 지도부를 선출하자는 공감대가 확산되는 분위기다.

오는 9일 당무위-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선출되는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는 5월18일까지다.

이해찬 전 당대표가 사퇴한 지난해 11월18일부터 6개월이 되는 시점이다.

당내에서는 전대 시기로 3월말과 5월 중순 주장이 엇갈렸지만 최근 들어 3월 전대론이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2월과 4월에는 임시국회가 열리고 4월의 경우 재보선이라는 정치일정까지 감안하면 전대 시기로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다.

5월 전대론은 엄정한 대선 평가는 물론 당의 쇄신과 정치개혁 등을 주도하려면 상당한 권한을 갖는 `혁신 비대위'를 구성해 충분한 활동 기간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기반해 있다.

반면 3월 전대론은 비대위 성격과 역할에 대한 계파 간 입장차가 엇갈리는 상황에서 비대위가 생각만큼 힘을 받을 수 없는 구조여서 새 지도부를 빨리 선출해 당의 수습책을 추진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판단에 근거해 있다.

이런 가운데 당의 원로인 상임고문단은 3일 박기춘 원내대표와의 간담회에서 비대위의 역할로 차기 지도부를 세우는 전당대회에 전념하는 것을 꼽아 조기 전대론에 힘을 실었다.

대선에 대한 엄정한 평가작업 역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긴 했지만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는 것은 비대위의 역할을 전대를 공정하게 치르는 `관리형'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해석된다.

3월 전대론은 주류 측이 5월까지 시간을 벌면서 당권 재장악에 나서려 한다는 의구심을 품은 비주류를 중심으로 강하게 제기됐지만 최근 들어 주류 내에서도 조기 전대론 목소리가 나온다.

주류측 한 의원은 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대에서 선출한 지도부에 대해서도 왈가왈부해온 상황인데 비대위가 얼마나 힘을 받을지 모르겠다"며 "비대위를 길게 끌고가면 당 리더십의 공백이 길어질 수 있어 빨리 새 지도부를 뽑는게 맞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비대위에 상당한 권한을 부여해 당 쇄신을 주도할 수 있게 하자며 혁신비대위 구성을 주장해온 초선그룹 내에서도 조기전대 불가피론이 거론된다.

한 초선의원은 "혁신비대위의 구체적인 역할이 무엇이고 적임자가 누군지에 대한 초선들의 똑부러진 답이 없는 상태"라며 "이런 상황이라면 지도부를 조기에 선출해 쇄신과 개혁을 책임지고 가자는 의견이 많아질 것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또다른 초선의원은 "전대 시기는 3월이든, 5월이든 크게 중요하지 않다"며 "당의 혁신과제를 정식으로 추진하고 대선평가까지 진행하는 혁신비대위가 돼야 한다는 생각만큼은 분명하다"고 온도차를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기자 jbr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