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2일 오전 9시49분52초에 발사한 장거리 로켓을 서해상에 있던 우리 해군의 이지스함이 감지한 직후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안광찬 국가위기관리실장으로부터 유선 보고를 받았다. 이 대통령은 즉시 청와대 내 국가위기관리상황실로 내려가 상황을 점검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 소집했다. NSC는 청와대 지하 벙커에서 10시30분부터 75분간 열렸다. 회의에는 김황식 국무총리를 비롯해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김관진 국방부 장관,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김성환 장관은 NSC 회의 직후 발표한 정부 성명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탄도 미사일 발사를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와 1718호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 한반도와 세계 평화에 대한 도전과 위협”이라고 비난했다.

또 “그간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발사 철회 요구를 무시하고, 북한이 이러한 도발을 강행한 데 대해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와 함께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어떠한 도발에 대해서도 철통 같은 대비 태세를 유지하면서 관련국 및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해 상응한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직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과 연쇄 접촉을 벌이며 대응책 협의에도 나섰다. 김성환 장관은 이날 오후 성 김 주한미국 대사와 제임스 서먼 주한미군 사령관을 외교부 청사에서 만나 북한 로켓 발사에 대응한 한·미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한·미 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에서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은 또 겐바 고이치로 일본 외무상,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 등 다른 주요국 장관들과도 전화 접촉을 가졌다. 안호영 제1차관은 앞서 북한의 로켓 발사 직후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과 전화통화를 갖고 유엔 안보리에서의 대응 방안을 협의했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