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사가 8일 비정규직 현안문제를 논의하기위한 특별협의를 열었으나 입장차가 커 절충점을 찾는데는 실패했다.

현대차 노사는 이날 오후4시 울산공장 아반떼룸에서 제9차 5자간 비정규 특별협의를 했다. 사측에서는 윤갑한 울산공장장(부사장)과 사내 협력업체 대표 등이, 노측에서는 박현제 비정규직지회장과 문용문 현대차지부(정규직노조) 지부장, 금속노조 대표 등이 각각 31명씩 참석했다. 이날 특별협의는 지난 9월24일 실무회의를 한 뒤 대의원 선거 등 현대차노조 일정으로 협의가 지연된지 40여일 만이다.

사측은 특별협의에서 노조에 ‘일괄타결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직 채용규모, 사내하청 근로자 처우개선, 해고자 재입사 문제 등 사내하청 문제 전반을 다뤄 철탑농성 문제와 함께 한꺼번에 해결하자는 제안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비정규 노조원 2명의 철탑농성 장기화로 노사간 대립이 악화되고 있다”며 “회사의 조기 정상화를 위해 이러한 안을 내놨다”고 말했다. 회사는 이에 앞서 지난 8월 현대차지부와의 임금협상에서 오는 2015년까지 3000명을 신규채용 방식으로 정규직화하며 올해 1000명을 우선 채용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비정규직지회 측은 “불법파견을 인정해야 하며 전원 정규직화가 아니면 받아들일 수 없다”며 회사측의 이같은 제안에 대해 거부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특별협의 참석자들이 전했다. 정규직노조도 “지난 2달간 울산·아산·전주공장의 비정규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해보니 사내 하청 근로자의 87.8%가 입사 2년이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며 “대법원과 중앙노동위원회의 판결에 따라 불법파견을 인정하고 비정규직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라”고 회사측을 압박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는 “해고자 최병승 씨를 제외한 나머지 사내하청 근로자는 불법파견이라고 아직 법적으로 밝혀진게 없다”면서도 “정규직 채용시 개인 신분 관련해 어떠한 차별과 불이익도 주지않으며 소송결과는 채용과 별도로 소급 적용하는 등 전향적인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이해해달라”고 노조측에 주문했다. 사측은 이와 함께 “노사문제는 노사 당사자가 풀어야할 숙제로 비정규 노조원 2명의 철탑농성에 정치권과 외부세력이 개입하면서 사태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철탑농성 철회를 강력히 촉구했다.

지난달 17일부터 현대차 울산공장 명촌주차장 앞 송전철탑에 올라가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최병승 씨 등 비정규직지회 노조원 2명은 전원 정규직화 없이는 농성을 풀지않겠다는 입장이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한 노사 특별협의는 비정규직 문제해결에 큰 의미가 없다는 무용론도 제기되고 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