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3000만 유로의 사나이' 알론소가 온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리아 그랑프리 12일 개막…드라이버의 세계
올 시즌 1위…'차세대 황제' 페텔과 선두경쟁
모터스포츠 '불모지' 한국, F1 선수는 먼 얘기
올 시즌 1위…'차세대 황제' 페텔과 선두경쟁
모터스포츠 '불모지' 한국, F1 선수는 먼 얘기
‘3000만유로(약 430억원)의 사나이’ 페르난도 알론소(스페인·페라리)가 한국에 온다. 그를 비롯해 포뮬러원(F1) 코리아그랑프리에 참가하는 드라이버 24명이 12일부터 전남 영암의 코리아인터내셔널서킷(KIC)에서 불꽃 레이스를 펼친다.
F1 드라이버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등처럼 스포츠 스타로 막대한 부를 누린다. 1년에 20개 대회를 뛰는 이들이 한 해 얼마나 벌어들이는지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프랑스 자동차전문지 ‘비즈니스북 GP 2012’에 따르면 톱클래스 드라이버들의 연봉은 수백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430억 알론소 vs 143억 페텔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드라이버는 올 시즌 드라이버 부문 1위를 달리고 있는 알론소다. 올 시즌 3승을 거두며 랭킹 포인트 194점을 쌓은 그는 소속팀인 페라리로부터 연봉 3000만유로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의 명문 레이싱팀인 맥라렌에서 활약하고 있는 루이스 해밀턴(영국)과 젠슨 버튼(영국)이 각각 1600만유로(약 229억원)로 뒤를 이었다.
알론소와 함께 올 시즌 치열한 선두 경쟁을 펼치고 있는 레드불의 제바스티안 페텔(독일)은 1000만유로(약 143억원)로 공동 4위에 올랐다. 페텔은 2010년과 지난해 2년 연속 월드챔피언 트로피를 차지하며 ‘차세대 황제’로 떠오른 스타. 2007년 F1 데뷔 이후 매년 큰 폭으로 몸값이 치솟고 있다. 올 시즌 초반 부진을 떨쳐내고 최근 상승세를 타면서 1위 알론소를 랭킹 포인트 4점차로 맹추격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상위 랭킹에 든 마크 웨버(호주·레드불)와 펠리페 마사(브라질·페라리), 니코 로즈버그(독일·메르세데스)도 페텔과 같은 1000만유로를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
‘황제’로 F1을 평정했던 미하엘 슈마허는 한때 8000만달러(약 891억원) 이상을 번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6년 은퇴 후 2010년 복귀한 뒤 연봉이 800만유로(약 114억원)로 줄었다.
모든 드라이버들이 엄청난 돈을 버는 것은 아니다. 올 해 데뷔한 샤를 픽(프랑스·마루시아)은 15만유로를 받아 가장 연봉이 적은 드라이버로 꼽혔다.
○F1이 인디카보다 3배 이상 많아
F1 드라이버의 연봉은 미국의 대표적 자동차 경주인 인디카의 드라이버보다도 월등히 많다. 인디카의 여성 드라이버로 가장 인기 있는 다나카 패트릭은 지난해 1200만달러(133억원)를 번 것으로 나타났다. F1의 알론소가 인디카의 패트릭보다 3배 이상 많은 돈을 버는 셈이다. 알론소는 지난 6월 포브스가 뽑은 세계 부자 스포츠 스타 19위에 올랐다.
유명 드라이버는 상금 외에 후원이나 광고 수입으로 수백만유로를 더 벌어들인다. 이들이 많은 연봉을 받는 것은 팀에 그만큼 많은 돈을 벌어다주기 때문이다. 이들이 우승하면 그 점수를 더해 팀별 성적을 결정한다. 시즌이 끝나면 F1을 운영하는 포뮬러원 매니지먼트(FOM) 측에서 한 해 수익을 순위에 따라 각 팀에 배분한다.
○한국인 F1 드라이버 탄생은 요원
한국인 F1 드라이버는 언제쯤 나올까. 24명의 F1 드라이버 가운데 일본의 가무이 고바야시(자우버)와 인도의 나레인 카디키얀(HRT) 등 2명이 아시아 출신이다. 중국도 마칭화가 HRT팀의 드라이버 육성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등 F1 드라이버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모터스포츠 불모지인 우리나라에는 3~4명의 유망주가 있을 뿐 이렇다할 대형 선수는 없다. 한국인 최초로 F1의 전 단계인 F2에 진출한 문성학(21·성균관대), 서울대 공대 출신 카레이서 임채원(28), 2007년 F1 하부 리그인 F3에서 우승한 최명길(26), 카트 유망주 서주원(17) 정도가 손에 꼽힌다.
모터스포츠의 저변이 턱없이 부족해 당분간 한국인 F1 드라이버 탄생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F1 드라이버는 통상 유소년 시절에 5~6년간의 카트 경력을 쌓은 뒤 F3까지 4~5단계를 거치지만 국내 선수 중 이런 과정을 거친 선수는 없다. 선수 1인당 연간 10억원에서 20억원까지 드는 후원이 필요한데 일본 중국 인도처럼 국가적인 지원도 없는 상태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F1 드라이버는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등처럼 스포츠 스타로 막대한 부를 누린다. 1년에 20개 대회를 뛰는 이들이 한 해 얼마나 벌어들이는지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프랑스 자동차전문지 ‘비즈니스북 GP 2012’에 따르면 톱클래스 드라이버들의 연봉은 수백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430억 알론소 vs 143억 페텔
가장 많은 연봉을 받는 드라이버는 올 시즌 드라이버 부문 1위를 달리고 있는 알론소다. 올 시즌 3승을 거두며 랭킹 포인트 194점을 쌓은 그는 소속팀인 페라리로부터 연봉 3000만유로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의 명문 레이싱팀인 맥라렌에서 활약하고 있는 루이스 해밀턴(영국)과 젠슨 버튼(영국)이 각각 1600만유로(약 229억원)로 뒤를 이었다.
알론소와 함께 올 시즌 치열한 선두 경쟁을 펼치고 있는 레드불의 제바스티안 페텔(독일)은 1000만유로(약 143억원)로 공동 4위에 올랐다. 페텔은 2010년과 지난해 2년 연속 월드챔피언 트로피를 차지하며 ‘차세대 황제’로 떠오른 스타. 2007년 F1 데뷔 이후 매년 큰 폭으로 몸값이 치솟고 있다. 올 시즌 초반 부진을 떨쳐내고 최근 상승세를 타면서 1위 알론소를 랭킹 포인트 4점차로 맹추격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상위 랭킹에 든 마크 웨버(호주·레드불)와 펠리페 마사(브라질·페라리), 니코 로즈버그(독일·메르세데스)도 페텔과 같은 1000만유로를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
‘황제’로 F1을 평정했던 미하엘 슈마허는 한때 8000만달러(약 891억원) 이상을 번 것으로 알려졌으나 2006년 은퇴 후 2010년 복귀한 뒤 연봉이 800만유로(약 114억원)로 줄었다.
모든 드라이버들이 엄청난 돈을 버는 것은 아니다. 올 해 데뷔한 샤를 픽(프랑스·마루시아)은 15만유로를 받아 가장 연봉이 적은 드라이버로 꼽혔다.
○F1이 인디카보다 3배 이상 많아
F1 드라이버의 연봉은 미국의 대표적 자동차 경주인 인디카의 드라이버보다도 월등히 많다. 인디카의 여성 드라이버로 가장 인기 있는 다나카 패트릭은 지난해 1200만달러(133억원)를 번 것으로 나타났다. F1의 알론소가 인디카의 패트릭보다 3배 이상 많은 돈을 버는 셈이다. 알론소는 지난 6월 포브스가 뽑은 세계 부자 스포츠 스타 19위에 올랐다.
유명 드라이버는 상금 외에 후원이나 광고 수입으로 수백만유로를 더 벌어들인다. 이들이 많은 연봉을 받는 것은 팀에 그만큼 많은 돈을 벌어다주기 때문이다. 이들이 우승하면 그 점수를 더해 팀별 성적을 결정한다. 시즌이 끝나면 F1을 운영하는 포뮬러원 매니지먼트(FOM) 측에서 한 해 수익을 순위에 따라 각 팀에 배분한다.
○한국인 F1 드라이버 탄생은 요원
한국인 F1 드라이버는 언제쯤 나올까. 24명의 F1 드라이버 가운데 일본의 가무이 고바야시(자우버)와 인도의 나레인 카디키얀(HRT) 등 2명이 아시아 출신이다. 중국도 마칭화가 HRT팀의 드라이버 육성프로그램에 참가하는 등 F1 드라이버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모터스포츠 불모지인 우리나라에는 3~4명의 유망주가 있을 뿐 이렇다할 대형 선수는 없다. 한국인 최초로 F1의 전 단계인 F2에 진출한 문성학(21·성균관대), 서울대 공대 출신 카레이서 임채원(28), 2007년 F1 하부 리그인 F3에서 우승한 최명길(26), 카트 유망주 서주원(17) 정도가 손에 꼽힌다.
모터스포츠의 저변이 턱없이 부족해 당분간 한국인 F1 드라이버 탄생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F1 드라이버는 통상 유소년 시절에 5~6년간의 카트 경력을 쌓은 뒤 F3까지 4~5단계를 거치지만 국내 선수 중 이런 과정을 거친 선수는 없다. 선수 1인당 연간 10억원에서 20억원까지 드는 후원이 필요한데 일본 중국 인도처럼 국가적인 지원도 없는 상태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