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질환이라고 하면 오십견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사실 가장 많은 어깨질환 환자가 겪고 있는 질병은 회전근개파열이다. 회전근개파열 증상은 어깨를 감싸고 있는 힘줄인 회전근개가 끊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회전근개는 한 개의 힘줄이 아닌 4개의 힘줄을 모두 합해 부르는 명칭이다. 어깨의 운동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근개에 변성에 일어나 비정상적인 구조로 변하고 약해지면서 힘줄에 파열이 생긴 것이 회전근개파열이다. 통상 40대 전후에 발생하기 시작해 나이가 들수록 발생빈도가 높아진다. 회전근개파열의 원인으로는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탁구 등 스포츠활동이 다양해지면서 어깨에 무리가 많이 가기 때문이다.

회전근개파열은 한번 발생하면 자연적인 치유가 쉽지 않다. 또 방치한 기간만큼 파열의 범위도 점점 커지게 된다. 파열의 크기가 커지면 회전근개가 제 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어깨의 안정성이 무너진다. 어깨 관절이 위로 올라가 어깨 위의 뼈에 맞부딪치면서 관절염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회전근개파열 증상을 살펴보면 근육이 위축돼 어깨 뒤쪽이 꺼져 보일 수 있다. 또한 팔을 들어올리면 통증이 생기다가 완전히 들어올리면 오히려 통증이 줄어드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회전근개파열 증상과 혼동하기 쉬운 오십견의 경우 어깨가 굳어져 아무리 팔을 올리려고 해도 올라가지 않는다.

김영은 희명병원 정형외과 진료과장은 “회전근개파열 증상은 통증이 심하다가 완화되기도 하기 때문에 방치하기 쉽다. 하지만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파열된 힘줄이 안으로 말려 들어가 지방으로 변성되고 힘줄 내부에서 재파열돼 봉합자체가 불가능해진다”면서 “회전근개파열 증상은 어깨 통증이 조금이라도 느껴질 때 바로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하다”고 설명했다.

회전근개파열 치료법으로는 관절내시경을 이용, 찢어진 회전근개를 봉합해주는 회전근개 봉합술이 대표적이다. 수술 후에는 견관절 전동 운동기 Shoulder CPM을 이용해 다양한 각도의 운동을 조금씩 진행한다. 회전근개 봉합술을 실시한 후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해주면 더욱 빠른 치료가 가능하다고 전문의는 말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