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는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등 대선후보 3인과 후보의 친인척, 의혹 관련자 등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세우는 문제를 놓고 여야 간 거센 공방이 벌어졌다.

포문은 민주당 강기정 의원이 먼저 열었다.

강 의원은 회의가 시작되자마자 의사진행 발언에서 박근혜 후보의 친인척을 증인으로 채택하자고 주장했다.

강 의원은 "박지만 EG 회장과 서향희 변호사, 박영우 대유신소재 회장 등은 박 후보의 친인척인 것 같지만 사실은 삼화저축은행 관련이며, 대유신소재의 경우 주가 조작 문제일 수도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선 후보와 관련돼 있으면 더욱 더 검증 차원에서 해야 한다"며 "문재인 후보에 관련된 사람도 좋고, 안철수 후보에 대한 관련 의혹도 좋다"며 "대통령 후보를 증인으로 세우거나 여야 주요 책임자의 증인 채택은 일정 정도 정치적 고려가 있어야 될 것 같지만 다른 증인 채택에 예외를 둬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김기식 의원도 "박지만 회장이나 서향희 변호사의 경우 구체적 사안이 제기된 상태"라며 "그런 부분을 국감에서 다뤄보자고 하는 것을 왜 거부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은 강 의원을 겨냥, "문 후보와 안 후보를 직접 증인으로 세우자"며 "박 후보도 세울 수 있으면 세우자. 그런데 문 후보나 안 후보 증인 채택에 왜 반대하나"라고 따졌다.

또 "후보를 증인대에 세워서 얘기해보자. 야당에서 받아야 한다"며 "문 후보는 저축은행 변호 문제, 안 후보는 안랩 문제를 중심으로 후보를 세우자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 의원은 이어 "왜 후보 바깥의 사람을 얘기하나.

현실적으로 후보를 다 빼고 하자는 게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며 "후보에 대한 검증 시간이 별로 없기 때문에 후보를 불러서 증인을 세우자고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문 후보가 거론한 `책임총리제'와 관련, 임종룡 국무총리실장에 대한 질의에서 "1997년 DJP 연합이 나눠먹다가 깨지면서 실패했다"며 "책임총리제는 말은 좋은데 대선 이용해서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한편 조 의원은 최근 정부가 0∼2세 무상보육을 폐지한 것과 관련, 임종룡 국무총리 실장에게 "이명박 정부가 얼마나 국회를 우습게 보면 통과도 되지 않을 안을 발표하는 그런 정부가 어디 있나.

임기 말에 정치쇼하는 것인가"라며 "새누리당이 내곡동 사저 특검에 찬성하니 그것에 대한 반발로 한 것 아니냐"고 강하게 항의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min22@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