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식량작물 중 유일하게 자급자족이 가능한 쌀 생산량이 수년째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

23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10년 104.6%에서 지난해 83.0%로 급락했던 쌀 자급률은 올해도 90%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쌀 자급률은 국내 생산량을 수요량으로 나누면 된다.

쌀 자급률을 계산할 때는 전년도 생산량을 기준으로 삼는데 2011년 생산량은 422만4000t이었다. 이는 냉해가 극심했던 1980년(355만t) 이후 31년만에 최저치다.

최근 5년간 쌀 수요량의 평균은 488만3000t에 달한다. 이를 기준으로 올해 쌀 자급률을 계산하면 86.5%에 불과하다.

내년 쌀 자급률도 90%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올해보다 더 낮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수확기를 앞두고 연이어 불어닥친 태풍으로 '백수 현상(염분을 함유한 강풍으로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죽는 현상)'이 심각해 올해 수확량이 지난해에 못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쌀값은 이미 오름세를 보여 쌀 20㎏ 도매가격이 지난해보다 7.2% 오른 4만1800원에 달한다. 평년 가격이 3만8000원가량인 것에 비춰보면 크게 오른 셈이다.

정부는 쌀 자급률이 100%에 미치지 못해도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쌀 재고가 95만t에 달하는데다 쌀 시장을 개방하지 않은데 따른 의무수입물량이 매년 34만~36만t가량있어 수요량을 충분히 조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지나치게 낙관적인 견해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2010년 쌀 재배면적이 여의도 면적의 38배에 달하는 3만2000㏊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도 3만8000㏊나 줄었다.

수익성이 낮은 쌀 대신 밭작물이나 특용작물을 재배하는 농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추세가 계속되면 쌀 재고도 급격히 줄게 되고, 국내 생산량과 의무수입물량을 더해도 쌀 수요량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