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공감대ㆍ관계설정 주목

이명박(MB) 대통령과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대선을 108일 앞둔 내달 2일 단독회담을 갖는다.

현직 대통령과 여당 대선후보가 대선을 목전에 두고 회담을 갖기는 극히 이례적이다.

역대 대통령의 경우 임기말 실정 및 지지율 하락 등으로 탈당 사태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대통령과 박 후보의 독대는 지난해 12월22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따른 이 대통령과 여야 교섭단체 대표와의 회동 직후 이뤄진 단독 면담 이후 8개월여만이다.

이번 회담은 박 후보 측이 2∼3일 전 대선후보 선출에 이은 인사 차원에서 먼저 요청한 데 따른 것이다.

국민대통합을 전면에 내건 박 후보의 `광폭 행보'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두 사람은 지난 2007년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피말리는 접전을 펼치며 계파갈등이라는 극심한 후유증을 남겼고, 여당의 `양대 주주'로서 그동안 굵직한 현안을 놓고 적잖은 입장차를 보여왔다.

급기야 이 대통령의 측근ㆍ친인척 비리가 터지면서 대선을 목전에 둔 여당 일각에서는 한때 대통령 탈당설이 공공연하게 나온 것은 물론 `현정부와의 선긋기' 목소리도 나왔다.

따라서 이 대통령과 박 후보의 이번 독대는 그동안의 `불편한 관계'를 일정부분 해소하면서 당 화합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그동안 청와대 내부에서는 임기 말 국정과제의 온전한 마무리를 위해 여당과의 협력 필요성을 적극 거론해왔고 박 후보 측에서도 "`대통령 탈당'과 같은 과거를 반복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이 대통령으로서는 글로벌 경제상황이 녹록지 않은 만큼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면서 민생경제를 살리는 동시에 잇단 강력범죄 발생에 따른 민생치안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당면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독도ㆍ역사교과서 왜곡 문제 등으로 냉각된 한일관계 등 한반도 국제정세에도 주력해야 하는 상황이다.

대선을 앞두고 야당의 `현정부 실정론'이 강화될 것이라는 점에서 이 같은 역점 과제를 차질없이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집권여당인 새누리당과 박 후보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박 후보 측은 "여당 대선후보가 여당 소속 대통령을 만나지 않는 것도 이상하지 않느냐"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세종시 등 중요 정책에 대해 현 정부와 다른 목소리를 냄으로써 이 대통령과 박 후보의 `차별화'가 각인된 상황에서 `인위적 단절'은 괜한 잡음만 불러올 수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현 정부가 마무리를 잘하는 게 대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한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은 3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현 정부가 경제불안, 어려운 민생, 외교문제 등을 잘 관리, 야당의 불필요한 공세를 자초하지 않는다면 박 후보 입장에서 나쁠게 없다"고 말했다.

또한 당내 비박(비박근혜)진영의 화합을 손쉽게 이끌어내는 부수적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이 대통령과 박 후보는 단독 회담을 통해 국정전반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하우스푸어'를 비롯한 민생경제, 민생치안, 한일관계를 비롯한 동북아정세는 물론 박 후보가 대선 출마선언 등을 통해 밝힌 국민대통합, 경제민주화, 정치쇄신 등이 주요 화두로 꼽힌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