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안에 저렴한 요금의 ‘알뜰폰’ 사용자들도 LTE 서비스를 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이 LTE망을 알뜰폰(MVNO·이동통신재판매) 사업자들에 제공하기로 결정한 데 이어 KT와 LG유플러스도 자사 MVNO 사업자들에 LTE 망을 개방하기 위한 막바지 준비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LTE 붐’을 옆에서 지켜보기만 했던 MVNO 사업자들은 LTE 서비스 개시가 가입자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적극 반기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달 30일 ‘MVNO 도매제공 1주년 기념 간담회’에서 LTE망을 도매제공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으며 연내 준비를 마칠 것이라고 발표했다. LTE 망은 그동안 도매제공 의무 대상에서 빠져 있었다.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밖에 지나지 않은 신규 망이라 시스템 안정성과 투자 효용성 측면에서 시기상조라는 게 통신업계 의견이었다.

장동현 SK텔레콤 마케팅부문장은 “읍·면 단위 전국망 구축 등으로 LTE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품질이 충분히 보장되고 있다”며 “최근 통신시장이 LTE 중심으로 급속히 변화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도매제공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KT와 LG유플러스도 조만간 LTE 망을 개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통신업계 관계자는 “LTE 망 제공을 통해 MVNO시장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라며 “알뜰폰 시장 활성화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MVNO 사업자들은 LTE 서비스 준비를 위해 통신사들과 협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 KT의 3세대(3G) 망을 빌려 ‘헬로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CJ헬로비전은 이르면 내달 LTE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김보영 기자 w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