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주로 찾는 외식 메뉴부터 직장인들이 애용하는 구내식당, 편의점 도시락 가격이 껑충 뛰었다. 외식과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점심값 급등)이 더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다.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지난해 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21.01로 전년(117.38)보다 3.1%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년(6%)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전체 소비자물가지수(2.3%)보다 높다. 외식 물가지수는 2022년 7.7%, 2023년 6% 각각 오른 데 이어 3년 연속 3% 이상 상승세를 보였고 2012년 이래 12년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웃돌았다.주요 외식 메뉴별 가격 상승률을 보면 도시락 가격이 5.9%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어 떡볶이 5.8%, 햄버거 5.4%, 김밥 5.3% 등이었다. 칼국수·치킨(각 4.8%), 냉면(4.2%), 쌀국수(4.1%) 등도 4%대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주로 서민들이 많이 찾는 메뉴다.외식 부담이 커지면서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 좋은 한 끼에 대한 수요는 높아졌지만 간편하게 한 끼를 때울 수 있는 편의점 도시락(4.9%), 삼각김밥(3.7%) 등도 3∼4%씩 올랐다.직장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구내식당의 가격 상승세가 가팔랐다. 지난해 구내식당 물가는 전년 대비 6.9% 올라 2001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4% 이상의 가격 상승률을 보였다.2019년부터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 통계에 편입된 편의점 도시락은 전년 대비 상승률이 2020년 2.4%, 2021년 0.6%, 2022년 2.1% 등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추이를 보이다가 2023년 5.2%, 지난해 4.9%로 상승폭이 커져 소비자 부담을 키웠다. 편의점이나 슈퍼,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들이 판매하는 삼각김밥 역시 2022년 1.3%, 2023년
현재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중 재산이 적은 가구가 재산이 많은 가구보다 오히려 더 많은 보험료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평성과 공평성에 어긋나는 만큼 개편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13일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직장가입자에게는 소득(월급 외 소득 포함)에만 보험료율에 따라 건보료를 물리지만, 지역가입자에게는 소득뿐 아니라 재산(전월세 포함)에도 매기는 등 이원화된 부과 체계로 짜였다.재산의 경우 세대별 과세표준액에 재산 기본공제 후에 남은 금액을 과표에 따라 60등급으로 환산하고서 등급별 점수를 매기고 점수당 단가(2024년 기준 208.4원)를 적용해 재산보험료를 산정한다.이른바 재산 보험료 등급제를 적용한다. 예컨대 최저 등급 1등급의 점수는 22점인데 여기에 올해 보험료 부과 점수당 금액인 208.4원을 곱하면 재산이 가장 적은 1등급 가구의 재산보험료는 월 4580원이 된다. 재산에 보험료를 부과할 때 기본 공제금액은 1억원으로 재산보험료 부담을 완화했다.문제는 현행 등급제에서 등급별 재산보험료를 1만원 단위로 금액을 환산하면 3.5원으로 재산 등급이 낮은, 즉 재산이 적은 가구가 더 많은 세대보다 지역보험료를 더 많이 부담하는 역진성이 발생한다는 점이다.재산 최저 등급 1등급에서 1만원당 재산보험료는 20.36원이지만 10등급은 11.89원, 20등급은 8.10원, 30등급은 4.13원, 40등급은 2.10원, 50등급은 1.09원, 최고등급인 60등급은 0.63원에 불과하다. 최저 등급의 재산 1만원당 보험료(20.36원)는 최고 등급(0.63원)과 비교해서 무려 31배에 달한다.이에 따라 이런 불합리한 상황을 개선하려면
중국 자동차 공세가 거세다. 지난해 중국 자동차 수출은 23% 급증했다. 중국이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일본을 누르고 세계 자동차 수출 1위에 오를지 주목된다. 이번주에는 비야디(BYD)가 한국에 공식 상륙할 예정이다. 12일 중국승용차협회(CPC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은 473만4000대의 자동차를 수출했다. 전년동기대비 23.3% 늘어난 수치다. 이중 친환경차 수출은 101만2000대로 전년대비 17.9% 늘었다. 유럽과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 높은 무역 장벽을 세우면서 판매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주춤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순수전기차 수출 대수는 92만1000대로 전년대비 0.8%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로써 중국은 2년 연속 세계 자동차 수출 1위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2022년 독일을 제치고 자동차 수출 세계 2위가 된 데 이어 2023년엔 491만대를 수출해 일본(442만대)을 넘어 세계 1위에 올랐다. 브랜드 별로는 체리자동차(치루이)가 전년 대비 23% 늘어난 88만1541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상하이차 산하 브랜드인 밍줴(MG)가 전년대비 27.6% 감소한 46만942대로 뒤를 이었다. 비야디(BYD)는 무려 67.2% 늘어난 40만5786대로 3위에 올랐다. 중국 자동차 수출이 늘어난 건 글로벌 완성차들이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둔 영향도 있다. 테슬라(6위)는 전년대비 24.6% 감소한 25만9558대를 중국에서 해외로 수출했다. 모델3은 18만여대 수출해 차종별로는 2위에 올랐다. 기아(10위)는 같은기간 103.5% 급증한 17만33대를 수출했다. 이밖에 뷰익(7위) 볼보(14위) 링컨(18위) 현대자동차(13위)도 2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중국 자동차는 국내에도 대거 수입되고 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관세청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