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분석 유럽 위기] 獨 '고집'에 탈출구 못찾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HOW…해법도 갈팡질팡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정위기에 대한 유럽의 대응책은 무엇일까. 병의 원인은 분명하지만 발병 3년이 되도록 각국은 저마다 다른 처방전을 내놓고 있다.
남유럽은 “유럽이 연대의식을 발휘해 고통을 분담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은 “한 나라의 빚은 기본적으로 그 나라가 아껴서 갚아야 한다”고 맞서면서 모든 해법이 겉돌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에서 재정위기가 발생한 이후 유럽이 공식적으로 계속 사용해온 처방은 긴축정책이다. 정부의 씀씀이가 방만해 위기가 빚어진 만큼 정부 지출을 줄이면 새로운 빚도 줄어들고, 국채 금리가 안정돼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논리다.
독일은 이 같은 입장을 확대해 유럽연합(EU) 회원국 중 영국과 체코를 제외한 25개국에서 긴축 기조 재정정책을 실시하는 신재정협약을 밀어붙였다. 신재정협약은 EU 회원국이 엄격하게 재정관리를 하고, 위반할 경우 거액의 벌금을 물리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대규모 실업 발생과 연금 축소 등 실생활의 고통이 국민에게 전가되는 만큼 긴축 당사국 국민들의 저항이 거세다.
특히 지난 5월 프랑스 대선에서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정부가 출범하면서 긴축 처방은 기로에 서게 됐다. 유로존 양대 축인 프랑스가 정부 지출 확대를 통한 고용 증대라는 성장정책을 주장하면서 대다수 남유럽 국가들이 프랑스 쪽으로 줄을 섰기 때문이다.
유럽의 위기 대응 기금 규모를 둘러싼 갈등도 여전하다. 올해 4400억유로(실질규모 2500억유로) 규모 유럽재정안정기금(EFSF)과 5000억유로 규모 유로안정화기구(ESM)가 병행 운용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선 이들 ‘방화벽’ 규모를 1조유로 이상으로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또 재정위기국들은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로존 국채 매입을 재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해 남유럽 각국은 유로존이 공동으로 국채를 발행해 정부 조달비용을 낮추자는 유로본드 계획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안들은 모두 자국 부담 증가를 우려하는 독일의 강력한 반대에 막혀 있다.
■ 그렉시트
Grexit. 그리스(Greece)와 출구(Exit)의 합성어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를 뜻한다. 스페인의 탈퇴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스페인(Spain)과 출구의 합성어인 스펙시트(Spexit)라는 말까지 나왔다.
■ 빅바주카포
중앙은행 등이 자금을 바주카포처럼 시장에 푸는 정책을 뜻한다.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증액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인하 등이 대표적.
■ PIIGS
심각한 경제위기에 빠진 포르투갈·이탈리아·아일랜드·그리스·스페인 등 유럽 5개국을 가리킨다.
■ 유로데머룽
유로(Euro)에 황혼이라는 의미의 독일어 ‘데머룽(Daemmerung)’을 더한 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그리스의 6월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화제가 됐다.
■ G유로
Greece+Euro. 그리스를 뜻하는 ‘G’와 유로(Euro)를 합친 것. 그리스가 유로존에 남는 대신 국내에서만 쓰기 위해 발행하는 정부 지급보증 어음.
■ 메르콜랑드
Merkollande. 유로존 양대강국인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프랑스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합성어.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남유럽은 “유럽이 연대의식을 발휘해 고통을 분담하자”고 주장하는 반면 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은 “한 나라의 빚은 기본적으로 그 나라가 아껴서 갚아야 한다”고 맞서면서 모든 해법이 겉돌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에서 재정위기가 발생한 이후 유럽이 공식적으로 계속 사용해온 처방은 긴축정책이다. 정부의 씀씀이가 방만해 위기가 빚어진 만큼 정부 지출을 줄이면 새로운 빚도 줄어들고, 국채 금리가 안정돼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논리다.
독일은 이 같은 입장을 확대해 유럽연합(EU) 회원국 중 영국과 체코를 제외한 25개국에서 긴축 기조 재정정책을 실시하는 신재정협약을 밀어붙였다. 신재정협약은 EU 회원국이 엄격하게 재정관리를 하고, 위반할 경우 거액의 벌금을 물리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대규모 실업 발생과 연금 축소 등 실생활의 고통이 국민에게 전가되는 만큼 긴축 당사국 국민들의 저항이 거세다.
특히 지난 5월 프랑스 대선에서 프랑수아 올랑드 사회당 정부가 출범하면서 긴축 처방은 기로에 서게 됐다. 유로존 양대 축인 프랑스가 정부 지출 확대를 통한 고용 증대라는 성장정책을 주장하면서 대다수 남유럽 국가들이 프랑스 쪽으로 줄을 섰기 때문이다.
유럽의 위기 대응 기금 규모를 둘러싼 갈등도 여전하다. 올해 4400억유로(실질규모 2500억유로) 규모 유럽재정안정기금(EFSF)과 5000억유로 규모 유로안정화기구(ESM)가 병행 운용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선 이들 ‘방화벽’ 규모를 1조유로 이상으로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또 재정위기국들은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로존 국채 매입을 재개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해 남유럽 각국은 유로존이 공동으로 국채를 발행해 정부 조달비용을 낮추자는 유로본드 계획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방안들은 모두 자국 부담 증가를 우려하는 독일의 강력한 반대에 막혀 있다.
■ 그렉시트
Grexit. 그리스(Greece)와 출구(Exit)의 합성어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를 뜻한다. 스페인의 탈퇴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스페인(Spain)과 출구의 합성어인 스펙시트(Spexit)라는 말까지 나왔다.
■ 빅바주카포
중앙은행 등이 자금을 바주카포처럼 시장에 푸는 정책을 뜻한다.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증액과 유럽중앙은행(ECB)의 기준금리 인하 등이 대표적.
■ PIIGS
심각한 경제위기에 빠진 포르투갈·이탈리아·아일랜드·그리스·스페인 등 유럽 5개국을 가리킨다.
■ 유로데머룽
유로(Euro)에 황혼이라는 의미의 독일어 ‘데머룽(Daemmerung)’을 더한 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그리스의 6월 유로존 탈퇴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화제가 됐다.
■ G유로
Greece+Euro. 그리스를 뜻하는 ‘G’와 유로(Euro)를 합친 것. 그리스가 유로존에 남는 대신 국내에서만 쓰기 위해 발행하는 정부 지급보증 어음.
■ 메르콜랑드
Merkollande. 유로존 양대강국인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와 프랑스의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합성어.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