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개 추가 방안에 찬성하다 막판에 1곳 더 양보
"비중있는 기업들..`값비싼 대가' 메시지 충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기업 3곳을 추가 제재하기로 결정했다.

유엔 당국자들은 2일(현지시간)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가 북한 은행 1곳과 무역회사 2곳을 기존 제재 리스트에 추가하고 북한과의 거래가 금지되는 품목도 늘리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안보리의 제재를 받는 북한 기업은 8개에서 11개로 늘어나게 됐다.

이번 결정에 따라 이들 기업의 자산은 동결되고 앞으로 유엔 회원국들과 어떠한 거래도 할 수 없게 된다.

소식통들은 제재 리스트에 새로 오른 기업의 이름은 확인할 수는 없지만, 모두 미사일 프로그램과 관련된 곳이라고 밝혔다.

우리 정부와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은 총 40곳 정도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으나, 거부권을 가진 중국의 반대로 숫자가 크게 줄었다.

안보리의 15개 이사국으로 구성된 대북제재위의 결정은 만장일치를 원칙으로 한다.

중국은 당초 2개 기업을 추가하는데만 찬성하다 미국 등의 압박에 못이겨 막판에 1곳을 더 양보했다는 전언이다.

대북제재위는 이와 별도로 사치품 등 북한과의 거래가 금지되는 일부 품목도 추가했다.

이와 관련, 한 서방 외교관은 "이번에 추가되는 기업들은 상당히 비중이 있는 곳"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다른 외교관은 "우리 요구에는 못미쳤지만 도발이 값비싼 대가를 치를 수 밖에 없다는 확실한 신호를 보내는데는 충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보리는 북한이 지난달 13일 로켓을 발사하자 이를 규탄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하면서 대북제재위에 보름 내에 제재대상 기업을 추가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제재위는 미 동부 시간으로 1일 자정까지인 보고 시한을 12시간 연장한 상태에서 합의를 도출했다.

이번 추가 제제안은 이날 낮 12시까지 반대하는 국가가 없으면 공식 확정된다.

앞서 안보리는 북한의 1, 2차 핵실험 후 각각 결의 1718호(2006년)과 1874호(2009년)를 채택해 단천상업은행과 홍콩일렉트로닉스 등 총 8개의 북한 기관.단체를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바 있다.

(유엔본부연합뉴스) 정규득 특파원 wolf8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