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여개 관계부처ㆍ기관 참여…기재부가 총괄

우리나라 경제발전경험을 개발도상국과 공유하는 사업(KSP)에 범정부 차원에서 참여한다.

기획재정부가 KSP 계획을 세우면 관계 기관이 연구진 선정에서 정책 자문 등을 맡음으로써 개도국과 경제협력을 확대하려는 목적에서다.

기재부는 10일 20여개 관계부처ㆍ기관이 참여하는 `KSP 추진 실무협의회'를 열어 세부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KSP(Knowledge Sharing Program)는 한국의 독특한 경제발전 경험을 개도국 등과 공유하는 사업이다.

우리나라는 2004∼2011년 34개국에 300여개 과제에 대한 맞춤형 정책 컨설팅을 제공했다.

정부는 정책자문이 후속 공적개발원조(ODA)사업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로 도미니카공화국에 수출 자문을 하고서 우리 정부의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으로 종합무역센터를 세운 바 있다.

지난해 한국전력공사는 도미니카 전력청과 4천600만달러의 배전선로 교체사업을 계약했다.

우리의 발전상을 구체적인 정책 사례로 정리하는 '발전경험 모듈화' 사업에도 관계 기관의 참여가 활발해진다.

모듈화 사업은 협력 대상국의 정책개발, 정책자문, 공동컨설팅 참고자료 등에 활용된다.

기재부는 "지난해부터 관계 기관이 함께 모듈화 사업을 해왔지만 사업 발굴 말고는 참여할 여지가 없었다"며 "올해부터는 사업자 선정부터 연구 활동, 평가에 이르기까지 소관 부처가 주도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모듈 주제별로 태스크포스(TF)를 만들면 관계 기관이 연구 진행상황을 살펴보고 결과물을 감수할 예정이다.

모듈화 사업은 2010년 시작돼 올해까지 모두 100개 과제를 마무리하게 된다.

발전경험 모듈은 교육용 교재나 다자개발은행(MDB)과 워크숍에서 쓸 예정이다.

국제기구와 함께 진행하는 공동컨설팅 사업에도 관계 부처의 협력이 커진다.

공동컨설팅 사업에는 전자정부, 녹색사업 등 우리나라가 뛰어난 분야가 주축을 이룬다.

기재부 윤태용 대외경제국장은 "KSP 훈령을 만들어 튼튼한 기반을 닦을 예정이다.

KSP가 한국의 발전경험과 노하우를 한 데 모은 범정부 사업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cla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