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낙관론에 내부경쟁 과도…우세 지역 100여곳으로 줄어"
박선숙 민주통합당 선거대책본부장(사진)은 “지난 1월에 비해 기대 의석 수가 30여개 줄었다”고 말했다. 박 본부장은 25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 백중우세 지역이 이틀 전 106곳에서 더 내려갔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공천 후유증과 불법 경선과정 시비 속에서 최근 당 지지율이 떨어진 것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이번 총선에 대한 낙관이 과도한 내부 경쟁을 일으켰다”고 진단했다. 후보 간 공천 경쟁이 너무 심해지면서 외부(새누리당)와의 경쟁력을 잠식했다는 설명이다. 전통적인 지지층 결집을 위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젊은 참모들을 대거 선대위에 포함시켰다.

박 본부장은 “야권연대를 발판으로 ‘MB 심판론’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MB 심판 여론이 있지만 이게 민주당 지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MB 심판을 위한 장치로 야권연대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또 “기존 지지층만으로는 승리할 수 없고 무당파를 투표장으로 오게 하려면 플러스알파가 필요하다”며 “그래서 만든 게 단일 후보 멘토단”이라고 덧붙였다. 박 본부장은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시장의 선거 승리를 도왔던 문화예술계 인사로 구성된 멘토단을 예로 들며 메가톤급 멘토단의 지원 사격을 예고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이제 관권·금권 선거와 이념 공세로 나올 것”이라며 “이념 공세나 색깔론으로 선거를 끌고가서는 새누리당이 오히려 부메랑을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정부·여당이 남북 관계 변수를 선거에 끌어들이는 상황도 대비하고 있다”며 “2010년 지방선거처럼 천안함 문제로 선거를 치르려고 하면 역효과가 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또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중단을 공식적으로 촉구할 계획이다. 박 본부장은 “북·미 합의 이후 북·미 관계에 개선의 공간이 있는데 광명성 발사는 이에 반하는 행동이라는 데 당내 공감이 있다”고 설명했다.

재벌 해체 등 급진적인 주장을 하는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는 “야권의 정책 협의는 최소한의 합의”라며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같이할 수 있는 부분을 정한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대중정당”이라며 “국민을 끌어안으려면 이념성과 정체성을 너무 강조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