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기업 공시 심사 깐깐해 진다
앞으로는 부실이 우려되는 기업이 제출한 공시 서류 심사가 엄격해진다.

금융감독원은 공시 심사 전 과정을 전산화하고 우량 기업과 부실 기업의 공시 심사를 차등화하는 내용의 새로운 기업공시 심사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14일 발표했다.

개편된 시스템은 부실이 우려되는 기업에 대해선 공시 심사를 강화하는 한편 우량 기업의 심사는 간략하게 진행한다. 기업의 부실 위험등급은 자체 평가 모형에 따라 재무등급, 비재무등급, 종합등급으로 나눠 각각 우량(1등급) 양호(2등급) 보통(3등급) 취약(4등급) 위험(5등급) 등 5단계로 구분한다.

금감원은 등급이 낮은 기업에 심사 인원을 집중 배정하고 2곳 이상의 복수 심사를 통해 심사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또 법령 개정을 통해 증권신고서 심사 기간(효력 발생 기간)을 최대 3일 연장할 방침이다.

부실 위험 등급은 공시 서류 제출 시점이나 월별 또는 분기별로 자동 갱신된다. 기업의 부실 위험등급은 심사 참고서류로만 활용되며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다.

증권신고서 심사 과정은 모두 전산화된다. 지금까지는 공시 서류 접수 등 일부 절차만 전산으로 진행됐다. 새 시스템에선 7개 항목으로 구성된 기업의 주요 경영 정보가 리포트 형식으로 공시 서류 심사자들에게 제공된다. 외부엔 공개되지 않는 자료다.

좌동욱 기자 leftk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