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부실 우려 기업에 대해 심사 역량을 더욱 집중하기 위해 새로운 기업 공시 심사 시스템을 본격 가동했다.

14일 금융감독원은 공시 제도 개선을 위해 공시 심사 전 과정을 전산화하고, 심사대상 기업에 대한 최신 정보와 부실위험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심사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시스템에 따라 기업의 주요 경영정보는 매일 갱신된다.

금감원은 공시 감독에 필요한 기업 정보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수집하고 가공해 보고서 형식인 기업경영정보 리포트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관리자와 심사 실무자가 기업의 현황을 쉽고 빠르게 파악해 적시적 대응이 가능해 질 것이란 설명이다.

기업 경영정보 리포트에는 공시 심사에 필요한 7개 항목(회사개황, 부실위험등급, 지배구조 변동, 자금조달 및 운용현황, 공시위반내역 등 법규준수, 상호변경 등 기타사항, 주요 재무사항)이 제공된다.

기업공시 자료에 대한 심사 지원도 강화된다.

증권신고서와 같은 공시자료의 접수부터 완료까지 전 과정은 시스템에서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이 구현되며 사전예고→신고서 수리→심사진행(심사수준결정, 체크리스트 등)→효력발생→사후관리→심사정보 저장→정보관리 순의 심사 프로세스가 구축됐다.

신고서 제출 예정기업의 목록을 자금조달결의 등 주요사항보고서 등의 체크를 통해 심사자에 사전예고하고 심사내용 등을 시스템에 저장해 기업별 심사내역을 관리해 심사 인력의 인사 이동이 발생했을 때에도 일관성 있는 심사 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험평가 모형을 활용한 차등화된 심사가 실시된다. 금감원은 부실우려기업에 심사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기업의 부실화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자체 모형을 개발했다.

이 모형을 통해 산정되는 기업의 부실위험등급을 활용해 공시 심사자가 심사 수준을 차등화할 수 있도록 시스템적으로 지원한다는 것. 등급 산정을 위한 재무 및 비재무 기초 정보를 심사자에게 제공해 전문가적인 심사 판단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차등심사 지원 프로세스는 증권신고서 제출→부실위험 등급(시스템)→심사수준 결정→차등 심사로 이뤄진다.

상장기업별 부실 위험 수준은 재무등급, 비재무등급, 종합등급으로 구분해 제공된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기업의 부실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유용한 재무와 비재무지표를 활용, 부실 위험을 5단계(우량·양호·보통·취약·위험)로 계량화했다.

건전·우량기업에 대해서는 약식 체크리스트를 이용해 간략 심사가 진행되고, 부실우려기업은 2인 이상 또는 2팀이 공동심사를 진행해 심사역량이 집중된다. 한편 금감원은 부실우려기업군에 대해서는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 기간을 연장(3일)하는 제도 개선이 별도로 진행 중이다.

공시 심사에 특화된 내부 통제 체계도 마련됐다. 공시 부서내 내부 통제를 수행하는 팀이 심사팀과 동일한 수준으로 심사 진행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감사 부서가 공시 심사부서의 업무 처리 현황을 시스템을 통해 상시 파악할 수 있게 된 것.

정연수 금감원 부원장보는 "지난 1일부터 신기업공시시스템이 운영 중"이라며 "차등심사를 통해 부실우려 기업의 심사 효율성이 크게 제고되고, 전산시스템을 통해 투명성과 신뢰도가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금감원은 앞으로 이달 중 상장기업과 증권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신기업공시심사시스템'에 대한 시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최성남 기자 sul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