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파탄난 동반성장위에 집착하는 정운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동반성장위원회가 어제 전체회의를 열어 이익공유제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못내고 내달 초까지 유보했다. 대기업 위원 9명 전원이 지난달에 이어 이번에도 불참하면서 또다시 무산되고 만 것이다. 위원회는 이익공유제를 ‘협력이익 배분제’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지만 본질이 달라질 것은 전혀 없다.
정운찬 위원장은 “대기업의 보이콧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정 위원장이 왜 이익공유제에 그토록 집착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익공유제는 시장경제의 기본원리에 어긋날 뿐 아니라 경쟁을 통한 이윤 추구가 목적인 기업의 본질을 훼손하고, 주주이익을 침해하는 것이다. 이익은 협력업체와 나누고 손실은 대기업이 다 책임지라는 것은 재산권 침해 시비의 소지도 있다. 그런데도 막무가내다.
정 위원장은 또 대기업의 불참을 두고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가 말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얼 뜻하는지 도무지 모르겠다. 기업이 기업활동 그 자체에 매진하는 것보다 더한 사회적 책임이 있다는 것인지. 열심히 투자하고 일자리를 늘리는 기업이야말로 최고의 기업 아닌가. 그것은 협력업체들도 바라는 일이다. 오히려 정 위원장이야말로 대기업과의 대결 구도를 조성해 자신의 정치적 입지 구축에 이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구심을 떨치기 어렵다.
이 모두가 애당초 동반성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어디까지나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의 공익적 결과로 나타나는 동반성장을 마치 시장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제도’로 만들려 한 것부터가 잘못이었다. 어떤 인위적 개입도 결국 부작용만 낳을 뿐이다. 지금의 동반성장위원회 모습이 딱 그렇다. 자율적 민간기구라 해놓고서 법제화를 시도하는 등 이미 규제기관으로 변질되고 만 것이다. 대기업들이 불참한 것도 그런 위원회에 뭐하러 들러리를 서느냐는 항변이다. 표결을 해봤자 결과가 뻔한 위원회로 만들어 놓은 상황에서 말이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이미 파탄난 것이나 다름없다.
정운찬 위원장은 “대기업의 보이콧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정 위원장이 왜 이익공유제에 그토록 집착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익공유제는 시장경제의 기본원리에 어긋날 뿐 아니라 경쟁을 통한 이윤 추구가 목적인 기업의 본질을 훼손하고, 주주이익을 침해하는 것이다. 이익은 협력업체와 나누고 손실은 대기업이 다 책임지라는 것은 재산권 침해 시비의 소지도 있다. 그런데도 막무가내다.
정 위원장은 또 대기업의 불참을 두고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가 말하는 사회적 책임이 무얼 뜻하는지 도무지 모르겠다. 기업이 기업활동 그 자체에 매진하는 것보다 더한 사회적 책임이 있다는 것인지. 열심히 투자하고 일자리를 늘리는 기업이야말로 최고의 기업 아닌가. 그것은 협력업체들도 바라는 일이다. 오히려 정 위원장이야말로 대기업과의 대결 구도를 조성해 자신의 정치적 입지 구축에 이용하고 있는 건 아닌지 의구심을 떨치기 어렵다.
이 모두가 애당초 동반성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어디까지나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의 공익적 결과로 나타나는 동반성장을 마치 시장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제도’로 만들려 한 것부터가 잘못이었다. 어떤 인위적 개입도 결국 부작용만 낳을 뿐이다. 지금의 동반성장위원회 모습이 딱 그렇다. 자율적 민간기구라 해놓고서 법제화를 시도하는 등 이미 규제기관으로 변질되고 만 것이다. 대기업들이 불참한 것도 그런 위원회에 뭐하러 들러리를 서느냐는 항변이다. 표결을 해봤자 결과가 뻔한 위원회로 만들어 놓은 상황에서 말이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이미 파탄난 것이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