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통합정당 출범 이후 첫 지도부를 뽑는 민주통합당의 당권레이스가 15일 전당대회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이번 전대는 정당사에서 처음으로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모바일 선거혁명’으로 관심을 모았다. 15명이 참여한 예비경선을 거쳐 최종 9명의 후보가 본선에 올라 당 대표와 5명의 최고위원 자리를 놓고 경쟁을 벌였다.

민주당은 당원·시민 70%, 대의원 30%라는 경선룰을 확정지으며 시민 참여 비율을 높였고, 간단한 신원 확인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했다. 시민들 역시 폭발적으로 반응해 총 64만3000명의 시민선거인단이 참여를 신청했다. 당원선거인단 12만7000여명과 전대 현장에서 투표를 하는 대의원 2만1000명을 합하면 총 선거인단은 79만2000여명에 달하는 등 흥행면에서는 대박을 터뜨렸다는 평가다.

그러나 전대 기간 중 불거진 한나라당의 ‘돈봉투’ 파문이 민주당까지 옮겨붙으며 ‘흥행가도’에 비상이 걸리기도 했다. 민주당 임시 지도부는 사건이 불거지자마자 곧바로 진상조사단을 꾸려 조사를 벌였지만 아무런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혀 ‘꼬리자르기’란 비판에 직면했다. 이 과정에서 3명의 시민통합당 출신 후보들이 옛 민주당을 ‘구태정치’로 몰아붙이는 듯한 발언을 해 양측 간 긴장감이 높아졌다.

처음 실시되는 통합선거 과정에서 경선룰을 둘러싼 잡음이 선거 막판에도 이어졌다. 본격적인 선거전 이후에도 스마트폰과 구형 기종 사이에서 모바일 투표율의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일부 후보자들은 지역별 표의 가치를 조정한 결과 영남지역 한 표의 가치가 호남지역 한 표의 20여배에 달해 표의 등가성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또 예상보다 낮은 현장 투표 보완책과 모바일 투표를 대의원까지 확대할지 여부도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절차상으로는 흥행몰이에 성공했지만 후보자 간 정책 노선 차이가 뚜렷히 부각되지 않아 변별력에서 한계를 보였다는 지적도 나왔다.

그럼에도 이날 2년 임기를 시작한 새 지도부는 ‘시민들이 직접 뽑았다’는 정당성까지 부여받아 어느 때보다 강력한 리더십 위에서 출발하게 됐다. 오는 4월 총선과 12월 대선을 승리로 이끄는 게 새 지도부에게 맡겨진 최대의 과제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