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KISA,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발표
68.1%는 카카오톡 등으로 SMS 이용량 감소
67.4% "특별한 이유 없어도 스마트폰 자주 확인"

스마트폰(스마트 패드 포함) 사용자의 절반이 스마트폰으로 쇼핑이나 뱅킹 서비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스마트폰 사용자 중 절반은 무제한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으며 10명 중 7명은 인스턴트 메신저(MIM) 이용 후 문자메시지(SMS) 이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작년 11월11~20일 만12~59세의 스마트폰 이용자 4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4차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 중 스마트폰을 통한 쇼핑(스마트 쇼핑)을 이용한 사람은 전체의 47.0%로 작년 7월에 발표된 최근 조사 때의 16.9%보다 30.1% 포인트나 늘었다.

이용 경험자 중 주1회 이상 스마트 쇼핑을 한다는 사람도 35.5%나 됐다.

결제 수단으로는 신용카드(67.9%)를 휴대전화 소액결제(53.7%)보다 더 많이 이용했다.

스마트폰을 통한 뱅킹 서비스인 스마트 뱅킹을 경험한 적 있다는 사람도 47.9%로 집계돼 절반에 육박했다.

경험자의 65.9%는 스마트 뱅킹을 주1회 이상 이용하고 있었으며 하루 1회 이상 이용한다는 응답도 17.6%나 됐다.

향후 스마트 뱅킹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70.2%를 기록했다.

스마트폰 이용자 중 스마트폰 전용 정액요금제 이용자는 93.9%에 달했으며 정액요금제 이용자의 과반수(52.6%)는 인터넷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제한 요금제 가입자였다.

스마트폰을 선택할 때 고려 사항(복수 응답)으로는 '디자인 및 크기'(53.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화면 크기 및 화질'(46.8%), '단말기 가격'(43.9%), '이동통신사'(37.9%) 순이었다.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로는 '무선인터넷 및 모바일 앱'을 꼽은 응답이 42.4%를 차지해 '음성ㆍ영상 통화'(39.3%)나 '문자메시지'(18.3%)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으로는 이동통신망(3Gㆍ55.8%)이 무선랜(WiFiㆍ43.6%)보다 많았는데 하루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은 1시간 27분이었다.

최근 1개월 이내에 모바일앱을 내려받았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7.4%를 차지했으며 월 평균 5천원 이상을 유료 모바일앱의 구입 비용으로 쓴다는 응답은 37.7%였다.

카카오톡 등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적이 있다는 응답은 79.2%였으며 이용 후 문자메시지의 이용량이 줄었다는 대답은 68.1%나 됐다.

이는 작년 7월 조사 때의 41.0%보다 27.1% 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연령대에 따라 스마트폰의 이용 행태도 달랐다.

청소년(12~18세)은 '음악 듣기', '게임ㆍ오락'(각각 85.7%)을 가장 많이 이용했지만 성인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알람ㆍ시계'(89.3%), '달력ㆍ일정관리'(79.6%)에 주로 이용해 대조를 보였다.

한편, 스마트폰 사용자의 67.4%는 '특별한 이유가 없어도 스마트폰을 자주 확인한다'고 응답했으며, '궁금한 점이 생기면 다른 사람에게 물어보기보다 스마트폰으로 검색한다'는 응답도 65.1%에 달해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 김병규 기자 jnlee@yna.co.krbk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