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글로벌 기업이 담합이라니…CEO가 책임지고 나서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무관용 처벌"…정공법으로 돌파 선언
사회적 논란에 신속 대응…MRO때 처럼 발빠른 처방
이건희 회장 의중 반영…고강도 '근절대책' 나올 듯
사회적 논란에 신속 대응…MRO때 처럼 발빠른 처방
이건희 회장 의중 반영…고강도 '근절대책' 나올 듯
삼성이 ‘정공법’을 택했다. 담합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최고경영자(CEO)들이 책임을 지고 근절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지난해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사업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일자 계열사 아이마켓코리아(IMK) 매각으로 신속히 대응한 것과 마찬가지다.
삼성이 여론에 재빨리 대응하는 것은 사회가 달라지고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 것이라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이 지난 18일 임원 승진자들에게 “사회와 함께하는 상생 정신을 가져달라”고 당부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공생 차원에서 사회 요구 적극 대응
25일 삼성 서초사옥에서 열린 수요사장단협의회는 통상적 순서와 달리 진행됐다. 주로 외부 강의를 경청했던 때와는 달리 백재봉 삼성지구환경연구소 전무가 20여분 만에 ‘그룹 환경안전 추진전략’이란 강의를 끝내자 삼성 준법지원실장인 김상균 사장이 무거운 분위기 속에 일어났다.
김 사장은 “담합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근본 원인을 찾아 다음달 말까지 그룹 차원의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이어 발언에 나선 김순택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은 더 강한 용어를 구사했다. 김 실장은 “담합은 해사행위다. 담합을 사장 책임이라고 생각하라”며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 박근희 삼성생명 사장 등 답합으로 적발된 계열사 CEO를 지목하며 대책을 촉구했다.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은 이와 관련, “담합을 부정과 똑같은 행위로 간주해 무관용으로 처벌하겠다”고 말했다. 박근희 삼성생명 사장은 “금융감독기관의 행정지도가 있더라도 경쟁사 간의 별도 협의가 있으면 담합이 성립될 수 있으므로 철저하게 교육을 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김 실장과 김상균 사장, 최지성 부회장, 박근희 사장 모두 (담합 근절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이야기를 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담합과 관련해) 회장님도 알고 계실 것”이라며 이날 회의에 이건희 삼성 회장의 뜻이 반영됐음을 내비쳤다.
삼성이 고강도 대책을 내놓기로 한 것은 “가만히 있다가는 모두 잃는다”는 위기의식의 발로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부 계열사의 담합이 안그래도 확산되고 있는 ‘반삼성’ 기류에 기름을 붓고 있어서다. 담합에 대해 회사 이익 여부를 따지지 않고 ‘담합=해사행위’로 처벌하겠다는 ‘극약처방’을 내세운 배경이다.
사회적 논란에 대한 삼성의 발빠른 대응은 지난해부터 본격화하고 있다. 삼성은 지난해 MRO 논란이 벌어지자 좌고우면하지 않고 사업철수로 대응했다. 이건희 회장은 지난 2일 신년하례식에서 “기업의 경쟁력은 사회의 사랑으로부터 나온다”며 “국민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이 MRO, 담합 등 사회적 논란에 부담을 갖고 적극 대응키로 방향을 틀면서 재계에 미칠 영향도 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담합 근절대책 강도 높을 듯
삼성은 그동안 공정거래위원회의 단골이었다. 공정위가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 의원(미래희망연대)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1년 5월까지 삼성그룹 계열사들은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80건의 과징금이나 시정명령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은 담합행위가 “회사를 위해 열심히 일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실수”라는 임직원들의 잘못된 인식을 없애는데 힘쏟기로 했다. 담합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2010년부터 컴플라이언스(준법)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도입해 임직원 교육 등을 강화하고 있다.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존경받는 글로벌 기업이 될 수 없다는 위기의식도 어느때보다 높아졌다.
삼성전자는 세탁기 TV 노트북 담합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집단소송을 당할 처지에 놓였다. 배상뿐만 아니라 소비자 신뢰 훼손이라는 더 큰 문제로 번지고 있다는 게 내부 판단이다.
미국 유럽연합(EU) 등은 카르텔 판정을 무역장벽으로 활용하고 있다. 매출액의 10%에 달하는 과징금뿐 아니라 집단소송에 따른 보상금도 엄청나다. 공정위가 적극적으로 담합 판정에 나서면서 매년 적발건수가 60건대로 10년 전에 비해 50%가량 늘었고 과징금도 한 건에 6689억원에 이를 정도로 커졌다.게다가 브랜드가 미래 이익을 좌우하는 상황에서 담합은 브랜드 이미지를 후퇴시킨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적발된 담합 행위가 비록 2010년 이전에 발생한 사안이지만 지금도 알게 모르게 담합행위가 이뤄지고 있을지 모른다는 점에서 다음달 말에 나올 담합 근절 대책은 강도와 수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삼성이 여론에 재빨리 대응하는 것은 사회가 달라지고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 것이라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이 지난 18일 임원 승진자들에게 “사회와 함께하는 상생 정신을 가져달라”고 당부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공생 차원에서 사회 요구 적극 대응
25일 삼성 서초사옥에서 열린 수요사장단협의회는 통상적 순서와 달리 진행됐다. 주로 외부 강의를 경청했던 때와는 달리 백재봉 삼성지구환경연구소 전무가 20여분 만에 ‘그룹 환경안전 추진전략’이란 강의를 끝내자 삼성 준법지원실장인 김상균 사장이 무거운 분위기 속에 일어났다.
김 사장은 “담합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근본 원인을 찾아 다음달 말까지 그룹 차원의 대책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이어 발언에 나선 김순택 미래전략실장(부회장)은 더 강한 용어를 구사했다. 김 실장은 “담합은 해사행위다. 담합을 사장 책임이라고 생각하라”며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 박근희 삼성생명 사장 등 답합으로 적발된 계열사 CEO를 지목하며 대책을 촉구했다.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은 이와 관련, “담합을 부정과 똑같은 행위로 간주해 무관용으로 처벌하겠다”고 말했다. 박근희 삼성생명 사장은 “금융감독기관의 행정지도가 있더라도 경쟁사 간의 별도 협의가 있으면 담합이 성립될 수 있으므로 철저하게 교육을 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삼성 고위 관계자는 “김 실장과 김상균 사장, 최지성 부회장, 박근희 사장 모두 (담합 근절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이야기를 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담합과 관련해) 회장님도 알고 계실 것”이라며 이날 회의에 이건희 삼성 회장의 뜻이 반영됐음을 내비쳤다.
삼성이 고강도 대책을 내놓기로 한 것은 “가만히 있다가는 모두 잃는다”는 위기의식의 발로라는 해석이 나온다. 일부 계열사의 담합이 안그래도 확산되고 있는 ‘반삼성’ 기류에 기름을 붓고 있어서다. 담합에 대해 회사 이익 여부를 따지지 않고 ‘담합=해사행위’로 처벌하겠다는 ‘극약처방’을 내세운 배경이다.
사회적 논란에 대한 삼성의 발빠른 대응은 지난해부터 본격화하고 있다. 삼성은 지난해 MRO 논란이 벌어지자 좌고우면하지 않고 사업철수로 대응했다. 이건희 회장은 지난 2일 신년하례식에서 “기업의 경쟁력은 사회의 사랑으로부터 나온다”며 “국민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이 MRO, 담합 등 사회적 논란에 부담을 갖고 적극 대응키로 방향을 틀면서 재계에 미칠 영향도 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담합 근절대책 강도 높을 듯
삼성은 그동안 공정거래위원회의 단골이었다. 공정위가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 의원(미래희망연대)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11년 5월까지 삼성그룹 계열사들은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80건의 과징금이나 시정명령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은 담합행위가 “회사를 위해 열심히 일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실수”라는 임직원들의 잘못된 인식을 없애는데 힘쏟기로 했다. 담합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2010년부터 컴플라이언스(준법)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도입해 임직원 교육 등을 강화하고 있다. 원칙을 지키지 않으면 존경받는 글로벌 기업이 될 수 없다는 위기의식도 어느때보다 높아졌다.
삼성전자는 세탁기 TV 노트북 담합으로 소비자들로부터 집단소송을 당할 처지에 놓였다. 배상뿐만 아니라 소비자 신뢰 훼손이라는 더 큰 문제로 번지고 있다는 게 내부 판단이다.
미국 유럽연합(EU) 등은 카르텔 판정을 무역장벽으로 활용하고 있다. 매출액의 10%에 달하는 과징금뿐 아니라 집단소송에 따른 보상금도 엄청나다. 공정위가 적극적으로 담합 판정에 나서면서 매년 적발건수가 60건대로 10년 전에 비해 50%가량 늘었고 과징금도 한 건에 6689억원에 이를 정도로 커졌다.게다가 브랜드가 미래 이익을 좌우하는 상황에서 담합은 브랜드 이미지를 후퇴시킨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적발된 담합 행위가 비록 2010년 이전에 발생한 사안이지만 지금도 알게 모르게 담합행위가 이뤄지고 있을지 모른다는 점에서 다음달 말에 나올 담합 근절 대책은 강도와 수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