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시장 개방 이어 규제완화 본격 나서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일본 지지통신 등 주요 외신은 2일 “인도 정부가 적절한 자격을 갖춘 외국인 투자자들이 인도 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것을 허용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지금까지 인도 증시에서 외국인은 증권사 등 기관투자가가 발행하는 참여증권(participatory notes)이나 뮤추얼펀드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투자가 가능했다. 이마저도 절차가 복잡해 활성화되지 못했다.
하지만 인도 정부의 시장개방 조치로 외국인 개인도 오는 15일부터 인도 증권사를 통해 직접 투자할 수 있다. 종목별 투자 한도는 총 상장지분의 5%다. 당국은 장기적으로 투자 한도를 10%까지 늘릴 방침이다. 외국인에 대한 각종 송금 규제도 철폐키로 했다.
WSJ는 인도 정부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주식 직접투자를 허용한 것에 대해 “경제 상황이 불확실해짐에 따라 해외자금 유입이 줄어들자 자금 유입을 되살리기 위한 조치”라고 분석했다. 인도 재무부는 “새로운 제도가 외국인 투자자층을 확대하고 더 많은 해외자본을 유치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인도는 최근 경상수지 적자 폭이 점점 커지는 데다 외국인 자금도 빠르게 이탈하고 있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경상수지 적자는 지난해 1분기 54억달러에서 2분기 158억달러, 3분기 169억달러로 확대됐다.
외국인들이 지난해 인도 증시에서 빼낸 자금은 4억9550만달러에 달한다. 2010년 인도 증시에 294억달러가 순유입된 것에 비하면 흐름이 180도 달라졌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부터 자금 유출 속도가 빨라져 인도 금융당국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면서 인도 증시 대표지수인 센섹스지수는 작년 25%나 급락했다.
오승훈 대신증권 글로벌리서치팀장은 “지난해 인도 증시가 외국인 자금 이탈과 실물경제 부진의 영향으로 급락하자 당국이 증시 부양책의 일환으로 외국인 직접투자를 허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 인도 정부의 시장 개방 행보는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 연말 인도 정부는 인플레이션 해소와 유통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외국자본의 직접투자를 허용하는 소매시장 개방정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소매시장 개방은 야당의 반대로 시행이 잠정 보류된 상태지만 투자 유치를 위해 시장을 개방하겠다는 인도 정부의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